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치상] 갈매기는 남의 과자가 더 맛있어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간식을 참고해 과자를 선택한다는 흥미로운 연구가 발표됐어요. 지난 5월, 영국 서식스대학교 프란치스카 파이스트 교수팀은 영국 브라이튼 해변에서 재갈매기의 먹이 선택 행동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재갈매기는 약 80년 전부터 자연이 아닌 도심 환경에서도 번식해 사는 갈매기예요 ... ...
- [프로포즈상] 인간이 바꾼 바퀴벌레의 프러포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방식으로 퇴치 약을 만들어 왔습니다. 그런데 지난 3월 29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코비 스칼 교수팀은 독일 바퀴벌레가 인간이 설치한 약에 적응해 사랑을 나누는 방식을 바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연구팀은 포도당을 싫어하는 수컷과 포도당을 좋아하는 수컷을 구분해 구애 행동을 ... ...
- [통합과학교과서] 달 도둑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달에서 구해야 해요. 그러려면 달에서 농작물을 키울 수 있어야 하지요. 중국 베이징농업대학교 쑨전차이 교수팀은 지난 11월 달 토양을 모사한 흙에 특정 미생물을 첨가한 결과 식물을 키우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달 토양에는 식물이 크는 데 필요한 질소가 부족하고, 식물이 흡수할 수 없는 ... ...
- [잔소리상] 발가락 사이 잘 씻어야 하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씻을 때 몸 구석구석 잘 씻으라는 부모님의 잔소리, 들어 본 적 있나요?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키스 크랜달 교수는 지난 9월 “건강에 좋지 않은 마이크로바이옴이 신체의 특정 부위에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우리 몸에 사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각종 ... ...
- [명탐정상] 손바닥 냄새로 성별 구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그렇다면 냄새만 맡고 사람을 구분할 수 있을까요? 지난 7월, 미국 플로리다국제대학교 생화학과 케네스 퍼튼 교수팀은 사람의 손바닥 냄새로 성별을 구분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이번 연구는 범죄 현장에서 범죄자의 실마리를 더 잘 찾아내기 위해 진행됐어요. 연구팀은 절도 등의 범죄를 ... ...
- [양궁상] 청동기 화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만든 화살촉에서 특별한 성분이 발견됐어요. 지난 8월 스위스 베른대학교 공동연구팀이 19세기 스위스 뫼르겐 유적지에서 발견된 화살촉을 분석한 결과, 우주에서 떨어진 운석 성분이 화살촉에 들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거든요.화살촉은 지금으로부터 약 3000년 전인 후기 ... ...
- [기획] 히틀러 딱정벌레, 그리핀도르 모자 거미? 별난 생물 이름 자랑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여기는 별난 생물 이름 자랑대회. 딱정벌레, 거미, 앵무새, 고릴라 등 여러 생물들이 세상에 단 하나뿐인 자신의 이름을 뽐내는 자리죠. 유명인과 같아서 난감한 이름부터, 이름이라고 믿기 어려운 말장난 같은 이름까지, 생물들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졌을까요? 그 기막힌 사연, 함께 보시죠! ▼이 ... ...
- [네컷만화] 4억 5천만 년 전 해양 고생물, 로봇으로 부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1월 6일, 미국 카네기멜런대학교 기계공학과 카멜 마지디 교수팀은 4억 5000만 년 전 고생대 바다에서 살다 멸종한 생물 플레로시스티티드의 모습을 본뜬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플레로시스티티드는 최초의 극피동물로, ‘근육 줄기’로 불리는 기관을 사용해 움직였습니다. 하지만 ... ...
- 빈대, 우리나라에 도착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약 200개의 알을 낳습니다. 빈대는 197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박멸됐던 곤충이에요.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양영철 교수는 빈대가 박멸됐던 원인에 대해 “농약으로 사용하던 DDT를 빈대 살충제로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던 온돌의 뜨거운 열기를 빈대가 ... ...
- [숫자뉴스] 똥 무늬로 살아남는 개구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3호
- 피부는 사라지고 매끈한 초록색을 띠게 되지요.오스트리아 빈 대학교와 미국 브라운 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개구리의 피부 무늬에 따라 포식자인 새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실험했어요. 무늬가 없는 붉은색, 흰 반점이 있는 붉은색, 초록색 개구리 모형을 각각 나뭇잎에 두고, 새들이 어떤 개구리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