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표
설계도
평면도
도화
선화
투시도
배선도
d라이브러리
"
도면
"(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발해의 닻을 올려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몇 달 전 필자는 국내 고선박 제작 전문가를 찾았다. 그에게 인양된 발해 닻 사진과
도면
, 논문 등을 보여주며 자문을 구했다.그는 “그 정도의 닻이라면 당시 15~16명이 승선할 수 있는 대형 선박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복원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닻의 석재와 목재부의 결합 형태는 힘을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나노구조를 규명하는 포항광가속기나 정전기장을 사용하는 초고압전자현미경보다 정밀
도면
에서 한수 위에 있다는 얘기다.하나로이용기술개발부 김영진 박사는 “중성자를 이용하면 결정구조 뿐만 아니라 자기구조나 스핀배열 등 내부의 동적인 상태까지 알아낼 수 있어 액체나 생체막 구조까지 ...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나는 친구 베소와 함께 베른의 연방 특허국에 임시 3등 특허심사관으로 취직했다. 기계
도면
을 보면서 작동원리를 찾아내는 일은 내 적성에 잘 맞았다.1903년에는 결혼도 하고 베른의 지방학회에 가입할 정도로 여유를 찾았다. 베소를 비롯한 몇몇 친구들과 ‘올림피아 아카데미’라는 모임을 만들어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또 여러명이 함께 지식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협업도구가 필요한데, 웹에서 건축 설계
도면
을 완성시키는 웹캐드(web CAD)나 미 미주리대가 운영하는 섀도네트워크스페이스(Shadow Network Space)라는 협력적 지식창출 시스템의 온라인 작업실이 그에 해당한다. 이와 함께 전세계 누구나 언어 장벽 없이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물체인지 알아낼 수 있다는 말이다. 보통 위성사진 분석가들은 50cm×50cm 정도의 공간해상
도면
승용차나 손수레를 뚜렷이 구분할 수 있다고 말한다. 같은 정도 크기의 물체에 대한 윤곽을 뚜렷이 구별할 수 있는 정도라고 보면 된다하지만 눈에 보이는 것만이 모든 것은 아니다. 어떤 위성은 근적외선, ... ...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대신 연사들은 고체물리, 반도체라는 용어를 써가며 열심히 회로
도면
만을 가리켰다. 결국 세기의 발명품 트랜지스터는 회견이 있고 4일이 지난 6월 30일에야 뉴욕타임스의 6줄 단신기사로 겨우 등장할 수 있었다.이처럼 초라하게 등장한 트랜지스터는 사실 일찍부터 ... ...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그와 나는 공통점이 있지만 엄격히 말해 나는 ‘건축가’다. 그는 글로, 나는 설계
도면
으로 꿈을 현실로 만든다.해양건축. 다소 낯선 용어다. 당신이 뜻하는 해양건축이란 과연 무엇인가?해양건축은 단순히 바다에 집을 짓는 일이 아니다. 궁극적인 목적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인간 삶을 ... ...
도전! 천왕성 맨눈으로 관측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플램스티드는 별들의 지도인 성도를 만들었다. 플램스티드는 별의 위치를 측정해 열심히
도면
에 그려 나가던 중 황소자리 부근에서 6등급 가량의 별을 발견하고 성도에 그렸다. 별 이름은 자신이 개발한 방법대로 황소자리 34번째 별(34 Tau)이라고 붙였다. 당시 이 6등급 별의 정체를 알 수 없었지만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유물선까지 건져 올렸다. 배를 인양하면서 뻘 속에 묻혀있는 배의 위치와 각도 등을
도면
으로 작성했고, 바다 속에 남아있는 배의 부분과 각종 부재를 바탕으로 배의 원형을 추론해 복원도를 만들기도 했다. 이 경우는 단순히 청자를 건져올린 이번 비안도 해저 유물 인양과는 분명 다르다. 해군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있는데, 선의 숫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세밀하고 선명한 모습을 띤다. 하지만 무작정 전체
도면
을 바탕으로 모델링을 하다보면 자료의 양이 방대해질 뿐만 아니라 쓸데없는 부분까지 복잡한 모델링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낭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부문별로 중요도를 점검하고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