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뛰기
뜀뛰기
점핑
커벳
깡총깡총 뛰기
날뛰기
높이 뛰기
d라이브러리
"
도약
"(으)로 총 387건 검색되었습니다.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1952년 영국의 생물물리학자 로절린드 프랭클린은 ‘X선 회절분석’을 통해 핵 속의 DNA가 이중나선구조라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회절분석이란, 파동이 물체를 ... 통해 나노세계를 자유자재로 보려는 CELA의 노력이 국내 여러 나노기술 분야와 융합해 커다란
도약
을 하길 기대해 본다 ... ...
[정보] 여름 방학, 도형을 정복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학교 성적으로 바로 효과가 나타나지는 않겠지만, 여러분의 수학 실력은 반드시
도약
하게 될 겁니다.도전은 용기를 가져야만 할 수 있어요. 자신의 현재 위치를 부끄러워하지 마세요. 수학이 어렵다면 쉽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접근해 보세요. 오늘 소개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번 여름 방학엔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도마에 손이 닿는 시간은 짧을수록 좋다. 도마를 오래 짚을수록 힘이 도마로 전달돼
도약
력이 줄고 공중에서 기술을 쓸 시간도 줄어든다. 송주호 책임연구원은 “양 선수가 도마 짚는 시간을 0.18초에서 0.15초로 줄이면서 공중회전속도가 초당 136° 늘었다”고 설명했다. 다른 선수들보다 공중에 더 ... ...
태양전지 옷 갈아 입혀 파워 업!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모두 모아놓은 흔치 않은 집단입니다.”박성주 소장은 연구소가 세계적 수준으로 빠르게
도약
한 까닭으로 ‘융합연구’를 들었다. 화합물 반도체로 만드는 2세대 태양전지, 유기물로 만드는 3세대 태양전지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함께 연구하는 시설은 세계에도 드물다. 박 소장은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전지전능한 힘으로 합리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악마를 퇴치하면서 과학은 한 단계 더
도약
했다. 지금 당신의 생각을 헷갈리거나 곤란하게 하는 것이 있다면 과학자들처럼 잠깐 악마의 힘을 빌려보는 건 어떨까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르러 양자역학이 등장해 고전 물리학과 선을 긋고 세계는 현대 물리학으로 장대한
도약
을 하게 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현대 물리학은 어떻게 시작했을까. 한국물리학회 창립 60주년을 맞아 한국 현대 물리학의 태동을 살펴본다.우리나라의 현대 물리학은 일제 강점기 시절 현재 연세대의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몸길이의 50배가 넘게
도약
할 수 있습니다. 몸길이가 5.5cm이니 2m가 넘게 뛰는 셈이죠.
도약
할 때 가속도는 중력가속도의 2배나 됩니다. 이 친구는 롱다리라 몸매도 늘씬하네요.올챙이 먹는 개구리?개구리 종류가 많다보니 별 친구들이 다 있습니다. 제 옆에 있는 이 친구처럼요. 네? 안 보인다고요?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입춘 추위가 떠나고 모처럼 낮에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간 2월 중순 관악산 중턱에 있는 서울대 공대를 찾았다. 최근 딱정벌레 날개의 결합원리를 이용해 ‘ ... 융합이 강조되는 시대가 됐으니까요.” 지금까지 서 교수가 발표한 160여 편의 논문은 더 큰
도약
을 위한 서막에 불과하지 않을까 ... ...
숀리외 함께하는 사이언스 헬스 킹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몸의 힘을 뿜어내는 능력을 말해요. 제자리멀리뛰기는 제자리에서 온 힘을 다해 앞으로
도약
해야 하기 때문에 순발력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평가 방법이랍니다. 이렇게 평가 요소를 적절하게 알려 주는 측정 방식을 ‘타당도’가 높은 방법이라고 해요.초등 5학년 남자는 141.1~159㎝, 여자는 123.1~13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번 발견을 계기로 지구와 유사한 생명체가 살고 있는 행성을 찾기 위한 인류의
도약
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지 주목되고 있다. 생명체 서식권이란 행성이 항성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해 행성 표면에 물이 액체로 존재할 수 있는 곳이다. 만약 행성과 항성 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물은 수증기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