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방
배후
뒷면
이면
뒤
뒷전
뒷쪽
d라이브러리
"
뒤쪽
"(으)로 총 58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헤딩슛, 평형감각 망가뜨려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축구 선수 20명을 대상으로 평형 조절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연구팀은 선수들의 귀
뒤쪽
에 전기전정자극(GVS)을 유발하는 장치를 부착한 뒤 눈을 감고 걷게 했다. 전기전정자극은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과 뇌를 연결하는 신경을 자극하는 것으로, 자극을 받은 피험자는 실제로 움직이지 ... ...
[Culture] 과학으로 분석한 ‘낚시꾼 스윙’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달리 최 프로는
뒤쪽
으로 치우친 형태의 곡선을 그렸다. 이는 최프로가 백스윙을 할 때
뒤쪽
으로 체중을 이동시킨다는 뜻이다.최 프로의 스윙 궤적을 더 자세히 확인하기 위해 박 선임연구원은 클럽 헤드의 궤도를 시각화했다. 여기에는 ‘키노베아(Kinovea)’라는 동영상 분석 프로그램이 쓰였다.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독특한 현상이 일어나요. 앞쪽별의 질량은 주변의 시공간을 휘게 만들어요. 그 결과,
뒤쪽
별로부터 나오는 빛이 왜곡된 시공간을 지나면서 휘어져 관측자에게 도달하게 되지요. 그럼 두 별의 빛이 더해져 빛의 세기가 증가해요. 이때 앞쪽별에 행성이 있으면 빛의 증가가 불규칙적으로 일어나요.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같은 방에서도 작대기를 돌릴 수 있습니다. 가는 작대기라 가리키는 방향의 앞쪽과
뒤쪽
의 공간은 아주 좁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작대기를 앞뒤로 움직이면서 조금씩 방향을 바꾸는 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방을 만들면 됩니다. 지금까지는 작대기의 두께가 선분처럼 얇을 때 즉 폭이 0일 때 작대기를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피젯 스피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한답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태양에서 날아오는 태양풍의 영향을 받아서 지구의 앞쪽과
뒤쪽
이 다른 모양을 하고 있어요. 태양과 가까운 곳은 태양풍에 눌려서 납작하고, 반대편은 혜성처럼 꼬리가 길게 늘어나 있는 형태랍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화성에 인공 자기장을 만든다고?! 화성은 ... ...
Part 3. 수학과 예술을 잇다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음식을 너무 많이 먹었는지 슬슬 배가 부르군요. 자, 그럼 소화도 시킬 겸
뒤쪽
에 마련한 공연장으로 이동하실까요? 눈과 귀가 호강할 시간입니다. 멋진 작품도 감상하고 예술가 겸 아마추어 수학자들의 이야기도 들어보죠. 유리공예가 겸 아마추어 수학자인 마틴 데메인은 ‘MIT 뉴스’와의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연구센터 연구원이 컴퓨터 앞에 앉아서 복잡한 코드를 편집하고 있었다. 컴퓨터
뒤쪽
으로는 회의실 한쪽 벽면을 꽉 채운 칠판에 복잡한 수식이 가득 적혀 있었다. 김용철 KCB 연구소 부부장은 “암호화된 상태의 데이터를 이용해도 원하는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며 “가명 ... ...
[헷갈린 과학] 호주의 대표 귀요미, 쿼카 VS 웜뱃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나 있어요. 두더지처럼 땅굴을 파고 살아가는 웜뱃에게 알맞은 형태지요. 구멍이
뒤쪽
으로 나 있기 때문에 엄마가 앞발로 흙을 팔 때도 육아낭 안으로 모래가 들어가지 않거든요. 이렇게 만든 땅굴은 길이가 최대 30m에 달하고 여러 개의 입구와 방으로 이루어져 있지요.혹시 호주 여행을 하다 웜뱃을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3] 수학적 최적화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관중석으로 둘러싸려면 관중석을 좁고 가파르게 만들 수밖에 없습니다. 안 그러면
뒤쪽
에 앉은 관중이 경기장에서 너무 멀어질 테니까요. 그렇다고 무턱대고 가파르게 만들면 사고가 나겠죠? 안전하면서도 최대한 많은 인원을 수용하는 경기장을 만들기 위해 ‘수학적 최적화’ 기법이 쓰이고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오목거울 수백 만 개로 이루어져 있었답니다. 사람은 수정체라는 렌즈로 빛을 모아 눈
뒤쪽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해요. 반면 가리비는 수많은 거울로 빛을 반사해 눈 앞쪽에서 상을 얻지요. 즉, 사람의 눈이 카메라라면, 가리비는 반사망원경에 해당해요. 일리: 반사망원경과 비슷하다고?가리비: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