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뜻"(으)로 총 5,8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존재한다는 것은, 털을 만드는 모낭에서 더 많은 세포를 만들어 외부로부터 보호한다는 뜻”이라며 “머리카락에 비해 음모는 오줌과 같은 환경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큐티클층이 더 두꺼워졌을 것”이라고 추론했다. 신 교수는 ‘오줌과 같은 환경으로부터 털을 보호하기 위해 음모의 큐티클이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말하는 내쉬균형(Nash equilibrium)은 위에서 말한 각자에게 최선인 행동의 집합, 즉 합의점을 뜻합니다. 내쉬균형에선 개별 개체가 자신의 선택을 유지하므로, 이 균형은 개체들이 이룬 사회적 상태를 상징하죠. 내쉬균형은 각 개체의 행동규범이 모여 어떤 사회적 상태가 될지 예상하는 데 매우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모든 유전체 연구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참조 유전체 연구는 정밀할수록 유용하다는 뜻이다. 2022년 이전까지의 유전체 연구에 쓰인 참조 유전체는 ‘게놈 레퍼런스 컨소시엄의 38번 째 인간 빌드’, 약자로 ‘GRCh38’이다. 2013년에 처음 발표되고 2022년까지 14번의 보완이 이뤄졌다. 오래 전에 발표된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순간에도 팽창하고 있습니다. 우주가 넓다는 건 그만큼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도 높다는 뜻입니다. 페르미의 궁금증은 다시 말해 이런 겁니다. ‘우주가 넓다면, 문명도 많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번쯤은 우리와 접촉했을 텐데, 왜 아직 그러지 못했을까?’ 이후로 외계인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 ...
- 2023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어 색다른 경험이었다”면서 “독자들에게 나의 글이 어떻게 느껴지는지 엿볼 수 있어 뜻깊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장경애 동아사이언스 대표는 “콘텐츠에 몰입하며 느끼는 즐거움은 그 콘텐츠의 스토리가 가진 힘에서 온다”면서 “SF스토리 공모전은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작할 ... ...
- [어수티콘 사전] 나머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세 번 들어가고, 1이 남지요. 식으로 쓸 때는과 같이 나타내요. 몫은 3, 나머지는 1이라는 뜻이에요. 어수동 : 그럼 나머지는 나누는 수보다 항상 작겠네요? 수달 : 그렇죠! 헷갈린다면, 나눗셈을 뺄셈으로 바꾸어 생각해 봐요. 쿠키 10개에서 3개씩 빼 보는 거예요. 10에서 3을 계속 빼면 3보다 작은 ... ...
- 등하굣길을 지켜줘!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속 30km 이하로 이동해야 해요. 이는 1초에 8m보다 짧은 거리를 움직여야 한다는 뜻이지요. 일반 도로에서 자동차의 통행 제한 속도가 시속 50km인 것과 비교하면, 절반에 가까이 느린 셈입니다. 이는 차와 어린이 보행자 사이의 충돌 사고가 났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예요. 2018년,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밀 진단과 치료를 하는 새로운 의료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뜻이었다. HGP는 생물학을 넘어 의학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HGP 20년이 지난 지금, 유전체 의학의 최전선을 다투는 두 기업의 현장을 방문했다.6년 걸릴 희귀 유전질환 진단을 한 달 만에 학교에서 또는 회사에서 ... ...
- 왜 필요해?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6학년 학생들의 평균 키는 약 153cm예요.● 모두 약 150cm 높이의 자동차에 가려지기 쉽다는 뜻이지요. 완벽히 가려지는 건 아니더라도, 운전자의 시야에 잘 들어오지 않을 수 있고요. 또, 어린이는 키가 작기 때문에 길을 걸어가면서 자동차뿐만 아니라, 나무, 수풀, 기둥 등에 시선이 막혀 차가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것이 확률적으로 다이어트 효과가 크지만, 반드시 효과가 있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는 뜻입니다. 확률을 높이는 근본적인 방법은 나의 유전체와 비교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의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최대한 많이, 정확하게 확보하는 겁니다.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로 예산을 3조 원이나 들여 20년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