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레일"(으)로 총 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01 황사와 산성비 없애는 차세대 발전소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임진강 포구 근처 아파트에서 경기도 용인의 사무실까지 20분만에 도착했다. 자기부상 레일에는 핵융합 발전소에 쓰이는 것과 유사한 초전도 자석이 깔려 전기자동차가 떠서 움직일 수 있고 출입로를 통해 주요 간선도로와 연결된다. 김과장은 즉시 창원의 핵융합 발전소 공장의 사정우 대리에게 ...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열차 바닥에는 초전도 코일이 들어있다. 초전도 코일을 통해 강한 자기장을 얻어 레일과 열차 바닥이 서로 밀어내거나 끌어당겨 시속 5백km이상으로 공중에 떠서 앞으로 나아간다. 이 속도는 비행기와 맞먹을 정도다. 그러나 운행에 필요한 에너지는 비행기의 절반 수준.무도회장의 전문 무희 같은 ... ...
- 자석 바퀴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알루미늄관의 오른쪽 지점에서는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즉 레일에 걸쳐놓은 알루미늄 횡단면 양쪽에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므로 알루미늄관은 회전한다.(그림3) ...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과학동아 l1999년 07호
- 광선의 칼날이 뻗어 있는 검을 사용한다. 제다이 기사들의 광선검은 철문을 뚫고 레일건의 위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그러나 광선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과학적인 이론은 아직 없다.만약 광선검의 칼날이 레이저빛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그것은 과학적으로 틀린 얘기다. 빛의 가장 ... ...
- 내가 만든 롤러코스터과학동아 l1999년 06호
- 트랙에 이르면 속력은 줄어든다. 이 구간에서는 운동 에너지가 위치에너지로 전환된다. 레일의 마찰을 무시할 수 있다면 트랙을 돌아온 롤러코스터는 처음지녔던 에너지를 모두 지니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마찰은 존재하므로 롤러코스터의 속력은 점점 줄어든다.서로 전환되는 운동에너지와 ... ...
- ④ 과학교육과학동아 l1999년 03호
- 뜨락또르(트랙터), 에네르기(에너지), 뉴톤(뉴턴), 그라프(그래프), 로케트(로켓), 레루(레일), 알루미니움(알루미늄) 등이 있다.우리와 다른 한자어를 쓴 용어가 있다. 예를 들면 향심힘(구심력), 천평(천칭), 총탁(총신), 발동(시동) 등이 있다.우리말과 다른 고유어를 쓰기도 한다. 뜨다(느리다), 늘구다 ... ...
- 과학일화 : 철도 레일 폭의 기원과학동아 l1999년 02호
- 기존의 레일망과 연결할 수 없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였던 것이다.흥미롭게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20세기 중반까지 주마다 철도치수가 달랐다고 한다. 그래서 지방간 화물운송은 주로 해상을 통했고, 철도로 운송할 때도 매번 한 철도에서 다른 철도로 옮겨 싣는 번거로움을 겪었다.기차 폭이 ... ...
- 4. 팔은 안으로 굽는다?과학동아 l1998년 11호
- 때문이었다. 렘지와 아레니우스의 경합 끝에 화학상은 아레니우스에게 돌아갔다. 렘지와 레일리는 1904년에 화학상과 물리학상을 수상했다.아레니우스의 사례는 노벨상의 수상자의 선정에 순수한 과학적 업적이 중요한 요소가 되기는 하지만, 선정 당시의 과학자들의 인간적 관계와 연구 분야가 ... ...
- 뉴턴역학 실험실 놀이동산과학동아 l1998년 05호
- 있던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점점 속력이 빨라진다.바퀴와 레일사이의 마찰을 무시한다면 위치에너지가 감소하는 것만큼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고 전체적인 역학적 에너지(운동에너지+위치에너지)는 보존된다. 이것이 에너지보존 법칙이다. 즉 물체가 가지고 있는 전체 ... ...
- 양자가설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점과학동아 l1998년 04호
- 플랑크는 에너지가 클수록 그러한 빛이 존재할 확률이 적다는 가정을 추가했다. 때문에 레일리의 식에서 도출됐던 파장이 짧아지면 에너지가 무한정 많아지는 모순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플랑크의 식은 모든 파장의 빛에 대해 잘 맞았고, 드디어 흑체복사의 문제가 풀리게 됐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