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혹
매력
d라이브러리
"
매료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실험실] 눈결정보다 아름다운 오더리 탱글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그런데 눈결정보다 더 아름다운 대칭 도형이 있단다. 한 번 만들어 볼래?”대칭에
매료
된 수학자, 새로운 도형을 만들다김태희, 이민정, 송혜교의 공통점은? 얼굴 좌우가 거의 완벽하게 대칭이라는 점이다. 대칭은 오래 전부터 아름다움의 조건이었다. 실제로 얼굴과 몸매가 좌우 대칭인 이성에게 ... ...
융합이 나의 연구경쟁력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연구실을 지도했던 신영길 교수님께 대학원 진학 상담을 받고 교수님의 확고한 비전에
매료
돼 의료 영상 처리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됐다.의료 영상 처리 분야는 대표적인 융합 연구 분야로 컴퓨터와 관련된 공학 기술과 의학 지식이 모두 필요하다. 대학원 입학과 동시에 앞에 펼쳐진 환경은 학부에서 ... ...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대칭을 뜻한다.대칭의 궁전, 알람브라스페인 그라나다에 위치한 알람브라 궁전은 대칭에
매료
된 수학자들이 가장 가고 싶어 하는 여행지 중 하나다. 전세계 어느 곳에도 17가지대칭을 한 번에 만날 수 있는 곳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학자들 이 곳에 방문하면 마치 보물찾기를 하듯 궁전의 벽,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소리를 눈에 보이는 수로 표현하는 이 신비한 이론 자체에
매료
됐습니다. 실험에는 관심이 없었답니다.피타고라스가 유리잔에 물을 넣고 잔을 때려 여러 높이의 음을 만드는 방법을 발견했다는 이야기도 정확하지는 않아요.그렇다면 피타고라스가 음향학에 무슨 기여를 ... ...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제작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시네마 계획을 들은 UC버클리 측은 시네마의 성능과 임무에
매료
돼 미국과학재단의 큐브샛 프로그램에 지원했고 미국과학재단이 예산을 지원해주기로 결정하면서 시네마 1기를 추가했다. 이동훈 WCU사업단장(경희대 우주탐사학과 교수)은 “시네마 3기가 서로 다른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친구들! 여러분을 둘러싼 세상에 관심을 가져 보세요. 그리고 여러분을
매료
시키는 것을 찾으세요. 저는 어릴 때부터 식물이 자라고, 무지개가 생기는 것 등 자연현상에 대해 궁금한 것이 많았답니다. 그렇게 관심을 가지다 보니 예술가가 되었어요. 친구들도 저처럼 좋아하는 것을 발견하고, 최선을 ... ...
과학으로 뭉친 열정 아이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추는 춤에는 허리를 유연하게 움직이는 ‘웨이브 댄스’가 있다. 허리가 이성을
매료
시키는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에 대해 영국의 생물학자 존 매닝은 진화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했다.사람들은 심리적으로 허리가 잘록하면 건강한 자손을 낳을 수 있다고 받아들인다는 사실이다. 마치 암컷 ... ...
‘마피아’의 자원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하러 오신 전효택 교수님과 운명적으로 만났다. 당시 열정적인 강의와 신선한 연구에
매료
됐다. 필자 인생의 전환점이었다.외부에서는 응용지구화학연구실을 ‘서울대 마피아(마음과 피가 통하는 아름다운 연구실)’라고 부른다.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는 선·후배사이가 워낙 돈독해서 생긴 ... ...
후크송은 왜 뇌를 중독시킬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노래를 ‘후크송’이라고 부른다. 많은 사람들이, 서양 사람들마저 한국 후크송에
매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숭실대 정보통신전자공학부 소리공학연구소의 배명진 교수는 “전자제품이 원래는 서양에서 발명됐지만 우리나라 기업에서 만든 제품이 잘 팔리는 것처럼 후크송도 서양에서 만들어진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사냥꾼이다. 그는 기상학을 전공하던 대학 시절 우연히 피서지에서 본 토네이도에
매료
돼 헌터가 됐다고 한다. 그옆에 빨갛고 파랗고 노란 그림이 움직이는 모니터를 뚫어져라 바라보며 하늘 여기저기를 살펴보는 사람은 스톰예측센터에서 토네이도를 연구하는 스파우트 박사다. 두 사람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