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서리"(으)로 총 3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12호
- 화면을 만지면 스크린에 흐르고 있던 전류가 손가락 끝으로 모인다. 그럼 스크린의 네 모서리에 있는 센서가 전류의 흐름을 감지해 위치를 파악한다. 세게 누르지 않고 살짝 닿기만 해도 터치를 인식하며 여러 군데를 동시에 눌러도 모두 인식한다. 인지하는 방식은 다르지만 둘 다 화면을 xy좌표로 ... ...
- [과학뉴스] 고슴도치 로봇으로 혜성 탐사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헤지호그는 우리 말로 ‘고슴도치’란 뜻이다. 정육면체 모양의 헤지호그는 실제로 모서리 여덟 군데에 본체를 보호하는 스파이크가 달려 있어 고슴도치처럼 생겼다. 내부에는 모터로 회전하는 플라이휠 세 개가 설치돼 있어 어느 방향으로든 튀어오를 수 있다. 무게는 5kg이다.헤지호그는 구멍과 ... ...
- [스토리텔링 교과서 뛰어넘기] 화합과 평화의 상징, 원형 탁자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앉은 사람의 시야는 서로 다르다. 또 이웃한 두 사람 사이의 거리도 모두 같지만은 않다. 모서리 위에 앉은 두 사람 사이의 거리를 1이라고 하면, 모퉁이에 앉은 두 사람 사이의 거리는 2로 1보다 크다. 그러나 원형 탁자의 경우(그림➋) 이웃한 두 사람 사이의 거리는 모두 같다. 게다가 어떤 사람이 ...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높이와 너비를 줄여서 사람의 시선이 1층에 머물게 했어요. 그리고 1층 탑신부의 각 모서리마다 안쏠림과 민흘림이 가미된 기둥을 세웠어요. 민흘림기둥은 사각뿔대 모양으로, 옆면은 사다리꼴이죠. 이런 옆면은 윗부분은 좁고 아랫부분이 넓어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기둥을 수직으로 올렸을 때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반면에 오픈타입은 해상도는 높지만 용량이 커서 속도는 느리다. 두 방식은 글자 모서리 부분을 얼마나 세밀하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물결표로 폰트를 만든다!?고무줄의 양끝을 고정해 놓고 중간을 잡아당긴다고 생각해보자. 팽팽한 직선이었던 고무줄이 여러 곡선이 된다. 원하는 지점을 ...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숫자 ‘7’모양 기둥을 부풀린 육팔면체 (두 종류 이상의 정다각형으로 이뤄졌고, 각 모서리에 모인 면의 배치가 서로 같은 준정다면체 중 하나. 정삼각형 8개와 정사각형 18개로 만든다.)에 끼워서 678클라인병을 완성했다. 모든 체험에 유쾌하게 참여한 김주경 독자기자는 “수학동아 독자탐방에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지경에 이르기도 한다. 과거에 북한 아나운서가 축구경기를 중계하면서 ‘코너킥’을 ‘모서리 차기’라고 말한 것이 한때 유머의 소재로 쓰인적이 있다. 하지만 전문 학술용어의 차이는 웃고 넘겨서는 안 될 일이다. 현재 남북한에서는 수과학, 공학, 농수산학, 의약학 등 과학기술 전 분야에서 30만 ...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곡률★과 크기가 전부 다른 곡면판을 사용했기 때문에 건물 외벽에서 뾰족한 꼭짓점과 모서리를 찾아볼 수 없어요. 모두 부드럽게 이어져 하나의 거대한 곡면을 이루고 있답니다. 그렇다면 서로 다른 곡률과 크기의 외벽 마감재는 어떻게 만들었을까요?바로 선박이나 항공기, 자동차 등 주로 금속을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동드릴을 손으로 들어 벽에 구멍을 내는 과제가 포함돼 있는데, 드릴의 톱날이 벽 모서리에 걸려 부러져 나가는 불운을 겪었다. 그래도 대회 하루 전인 4일 리허설에서 38분 만에 전 종목을 완주하는 등, 휴보는 대회 기간 내내 대체로 안정적이고 뛰어난 실력을 자랑했다.이 시합을 계기로 세계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띠가 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를 근거로 프레넬은 밝은 띠가 물체의 양 모서리에서 회절된 빛의 파동이 만나 간섭을 일으킨 결과라고 생각했다. 1815년 프레넬은 빛의 파동론을 지지하는 이 현상을 첫 논문으로 발표했다. 그의 파동론이 프랑스 과학계에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1819년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