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동
되튐
격퇴
반격
반작용
d라이브러리
"
반발
"(으)로 총 40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끈이론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팽창 속도가 점점 빨라지려면 서로 당기는 이들 천체를 강제로 멀리 떼어놓는 힘, 즉
반발
력에 해당하는 힘이 따로 존재해야 했다. 아인슈타인이 우주가 수축하지 않도록 추가한 우주상수가 후보가 될 수 있었다.오늘날 물리학자들은 우주상수를 ‘진공이 원래 가진 고유 에너지의 밀도’로 본다. ... ...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복강경 수술법도 처음 시도될 때는 학계의
반발
이 컸고, 싱글포트도 아직까지 안전성 문제를 지적받고 있다”면서 “수술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으니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많을수록 좋다”고 설명했다.권 교수팀은 싱글포트 수술을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값이 너무 커지면 작은 원자핵이 존재할 수 없다. 원자핵을 이루는 양성자 간의 전기적인
반발
력이 양성자들을 핵에 묶어두는 강력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만약 α가 지금보다 0.4%만 커져도 별은 생명체의 기본 원소인 탄소 원자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α가 0.1이면 탄소 원자를 산산조각 내버린다. 0.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환경성검토협의회와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 등이 부정적인 의견을 내고 시민들이
반발
하자 골프장을 14홀로 줄인 수정안을 냈다. 골프장 건설을 계속 추진한다는 뜻이었다. 시민들의 반대 역시 계속되고 있다.“주민들도 찬반으로 의견이 갈려서 흉흉해요.”동행한 ‘굴업도를 사랑하는 문화예술인 ... ...
과학으로 야구 한판! 삼진왕 vs 홈런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두꺼우면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아 회전 속도가 줄고, 또 너무 가벼우면 공에 전달되는
반발
력이 작아져서 멀리 날아가지 않거든. 게다가 방망이가 짧으면 공에 힘을 주는 원심력이 작아지게 돼.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방망이의 ‘스위트 스폿’에 공을 맞추는 거야. 방망이는 공에 맞으면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핵과 핵이 충돌해 핵융합을 할 수 있다. 이 때 플라스마의 온도를 높이면 핵 사이의
반발
력이 줄어들면서 핵융합이 일어날 확률이 더 높아진다. 그래서 KSTAR 내부에 높은 온도의 플라스마가 발생했다면 그 안에서 순간적이나마 핵융합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고온의 ... ...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강조하는 어른이 된다. 또 한편으로는 자기를 그렇게 훈련시킨 부모에 대한
반발
로 반항, 분노, 지저분함, 가학적 성격으로 성장할 수 있다. 한 마디로 그런 식의 양육 방식은 눈앞의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전형적인 사례라 말할 수 있다.사실 숲을 먼저 볼지, 나무를 먼저 볼지 결정하는 ... ...
후쿠시마 원전 1Km 앞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107mSv로, 기준치의 100배가 넘는다. 일본 정부가 추가 대피기준으로 정했다가 시민들의
반발
로 철회한 기준인 20mSv보다도 5배 이상 높다(어린이만 철회. 어른은 여전히 20mSv).] [현지조사 2일째, 사고 원자로 방향으로 접근하다가 20km지점에서 경찰 통제선을 만났다. 20km와 30km사이는 실내대피 구역이지만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2B등급으로 지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IARC의 의견에 휴대전화 업계는 크게
반발
하고 있다. 미국 이동통신산업협회(CTIA)는 “이번 조사는 제한된 증거를 토대로 하고 있을 뿐 아니라 편견과 오류가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삼고 있다”고 비난했다. CTIA는 또 “이미 미 연방통신위원회(FCC)가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그를 라이벌로 생각했던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 같은 사람들의 강한
반발
만을 불러일으켰다.1931년 디랙은 음의 에너지에 해당하는 영역의 빈 자리(구멍)에 양전하(+)인 반전자(antielectron)가 있다고 가정하면 이 문제가 해결된다고 제안했다. 전자와 양전자는 전하만 반대일 뿐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