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양"(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한숨을 쉬던데요. 인체의 화학공장으로 불리는 간(liver)만 해도 간줄기세포를 배양해 간 오가노이드를 만들면 될 것 같지만, 간이 간세포로만 이뤄진 건 아니래요. 간세포끼리 연결하는 세포도 필요하고,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세포, 신경세포 등이 다 있어야 진정한 오가노이드의 역할을 한다고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온실가스 배출량은 78~96%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oi: 10.1021/es200130u 줄기세포 배양육은 아직 연구 단계라 이번 시식회에서 맛을 확인해볼 수 없었습니다. 동물 복지와 환경 보호를 고려한 ‘착한 소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 개인의 기호와 취향뿐만 아니라 가치와 ...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적절한 환경에서 길러 만든 ‘인공 뇌’예요.랭커스터 박사는 실험 중 우연히 배양접시에 하얀 좁쌀만 한 물체가 떠있는 것을 발견했어요. 확인 결과, 이것이 뇌 조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지요. 실제 뇌는 손 한 뼘 크기지만, 뇌 오가노이드는 약 2mm로 임신 9주 차 태아의 뇌만큼 작았어요.뇌 ... ...
- [노벨생리의학상] 산소가 부족할 때 몸속에선 어떤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이용해 HIF-α 단백질을 발견했어요. 우선 서멘자 교수는 사람의 간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한 뒤, 세포에서 EPO 유전자만 분리시켰어요. 그리고 이 유전자를 쥐 세포의 핵에 넣었지요. 이때 한 그룹엔 충분한 산소를, 다른 그룹엔 1~2%의 산소를 공급했어요. 그 결과 적은 양의 산소를 공급한 그룹에서만 EPO ... ...
- [통합과학교과서] 사라진 세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큰 구형 액체방울부터 표면장력이 작은 반구형 액체방울까지 만들었어요. 이후 연구팀은 배양접시에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의 액체방울을 만들고 빛을 비추자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색이 나타났어요. 연구팀이 빛의 이동을 관찰한 결과, 빛이 반구형 액체방울로 들어가면 두 번, 세 번 이상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무중력과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 단백질 전환, 근육 손상에 관한 연구와, 골격 세포 배양 연구, 단백질 결정 성장 실험 등 우주인이 무중력 환경에 장기적으로 노출될 경우를 대비한 실험들이 많았다. 우주인의 ‘꿀잠’에 대한 연구도 이뤄졌다. 보통 무중력 환경에서는 수면의 질이 떨어진다고 ... ...
- [과학뉴스] 실험동물 희생은 그만, 이제는 ‘장기 칩’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칩(Organ-On-a-Chip)’은 장기의 미세한 구조를 재현한 3차원 칩에 실제 세포를 배양해 특정 장기의 기능과 특성을 구현한 진단기기를 말한다. 미국 장기 칩 전문기업 에뮬레이트와 얀센 파마슈티컬 연구개발(JRD), 하버드대 비스(Wyss) 생체모방공학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은 사람, 쥐(래트), 개의 간세포로 ...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교수팀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수십 개의 심장근육세포를 배양한 뒤 이들의 박동 리듬이 동기화되거나 불규칙해지는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doi: 10.1364/BOE.10.000610 이를 이용하면 신약 개발의 첫 단계에서 약물 후보물질에 대한 세포 수준의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B세포를 인간화된 돼지로 생산해 미리 비축했다가 사용할 수도 있다. 현재 시험관에서 배양해 만드는 인공혈액도 인간화된 돼지를 이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다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김 교수는 “한국은 실험에 대해 윤리적인 규제가 과한 측면이 있다”며 “장기적인 의료 ...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만드는 유전자를 집어넣으면 홍합 단백질을 만드는 미생물이 된답니다. 이미생물을 배양하면 홍합이 없어도 홍합의 단백질을 얻을 수 있죠. Q 미생물에서 홍합단백질을 얻는다고요?네, 정말 신기하죠? 게다가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일정한 품질의 홍합 단백질을 얻을 수 있어 더욱 좋아요. 홍합에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