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충
보결
보궐
대리인
보전
d라이브러리
"
보완
"(으)로 총 1,09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생성된 그래핀의 층수가 불균일해 고품질 그래핀을 만들기 어려웠다. 이런 한계점을
보완
하기 위해 니켈과 구리를 섞는 방법도 고안됐으나, 이 역시 그래핀을 2층까지밖에 쌓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3층 이상의 그래핀을 쌓기 위해서는 새로운 금속을 찾아내야 했다. 우리 연구팀은 균일한 다층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담당한 모든 시스템을 재점검하면서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부분은 모두 수정하고
보완
했다. 1차 발사 실패 원인이었던 페어링 분리시스템의 고전압 기폭장치를 저전압 기폭장치로 바꿔 방전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2차 발사 실패 원인으로 오해를 받았던 2단 로켓 엔진의 비행종단장치는 ... ...
과학난제 1. 로봇은 어떤 모양으로 진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방법과는 달리, 일단 간단한 모양의 로봇을 먼저 만든 뒤 실제 움직임을 보고 단점을
보완
해나가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답니다. 설계와 현실 사이의 차이에서 오는 실패를 빠르게 극복하기 위함이죠 ... ...
[융복합 파트너@DGIST] 나노 상자에 ‘쏙’ 담아 자동차 배기가스 없앤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19년 정 교수팀은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기존 2가 구리 이온 금속유기구조체의 단점을
보완
한 새로운 금속유기구조체를 제작했다. 연구팀은 피부 미백제로도 사용되는 방향족 유기화합물질 ‘하이드로퀴논(H2Q)’을 환원제로 사용해 1가 구리 이온(Cu+)을 포함한 금속유기구조체를 만들었다. doi: 10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과학적 오류나 작동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한계점을 찾아보고, 토의를 통해 한계를
보완
해 시행착오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토타입 제작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고려해 가장 효율적인 제작 방법까지 제시한다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프로젝트의 막바지에는 각 조의 프로토타입을 ... ...
세계 6위 군사력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문 국장은 “한국은 군사적 요충지에 위치한 만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국방력을
보완
해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국방부는 8월 10일 발표한 2021~2025년 국방중기계획에서 항공기를 실을 수 있는 경항공모함과 스텔스 기술을 무력화할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 등을 도입할 계획을 밝혔다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부채널 공격(side channel attack) 등 여전히 보안 취약점이 남아있다. SGX의 이런 취약점을
보완
하기 위해 필자는 SGX와는 별도의 보안 환경을 제공하는 하드웨어를 탑재하는 방법으로 클라우드 제공자를 신뢰점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격리 기술을 연구중이다. 격리 기술을 우회하는 부채널 공격 등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이견을 좁히는 데는 실패했다. 하지만 한·러 공동조사단은 양측 정부가 주장한 원인들을
보완
해 3차 발사를 준비하기로 합의했다. 발사 실패 원인을 명확히 가리기가 힘들고 3차 발사를 성공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판단에서였다. 한·러 공동조사단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비행종단시스템을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발사하는 것보다 성공적으로 발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실패 원인 분석과
보완
작업 상황을 봐가면서 신중하게 결정한 날짜였다. 대망의 2차 발사 이틀 전(D-2), 다시 한번 나로호를 발사대에 세우는 마음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벅찼다. 지난해 1차 발사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알아낼 수 있다. 이는 쇄빙선을 설계할 때도 중요한 자료로 쓰일 것이다. 인공위성
보완
하는 현장 조사인공위성을 이용한 원격탐사 덕분에 북극에 직접 가지 않고 한국에서 드넓은 북극을 매일 관측할 수 있게 됐다. 물론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한계도 있다. 아리랑 2호, 3호, 3A호처럼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