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환경
황태
말린 명태
명태
동태
북어
노가리
d라이브러리
"
생태
"(으)로 총 2,5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유인원들이 죽음을 마주하는 방법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세인 이화여대 행동
생태
연구실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현재 스위스 로잔대 방문 연구원으로 머물며 영장류 인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seinlee20@gmail ... ...
[시민과학콘] 지구사랑탐사대 2023년 11기 모집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3호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교육 일정 공지를 확인하세요. 온라인 강연을 통해
생태
전문가가 탐사 방법을 알려드려요. 영상과 가이드북으로도 탐사 방법을 배우세요.3탐사하기집 주변이나 배정받은 구역에서 탐사를 진행해 주세요. 직접 찍은 생물종 사진과 데이터를 팝콘플래닛 앱에 기록해 주세요.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동물성 플랑크톤은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으며 살아갑니다. 플랑크톤은 수중
생태
계의 가장 밑바탕이 되는 존재예요. 물고기와 고래 등 다른 수중생물의 먹이가 되거든요. 유리 같은 껍질을 가진 규조류도 식물성 플랑크톤입니다. 작년 11월, 캐나다 맥길대학교 연구팀은 ‘니츠치아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도 독립은 어려워요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독자 여러분들도 마음껏 추측하고 상상해보시라. ※ 이세인 이화여대 행동
생태
연구실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현재 스위스 로잔대 방문 연구원으로 머물며 영장류 인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seinlee20@gmail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당시 대선 후보자였던 윤 대통령은 사천에 방문해 “사천 일대에 항공우주산업의 거대한
생태
계가 들어설 것”이라고 연설한 바 있다. 이 때문에 경남은 사천의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경남 지역에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지역 경제에 보탬이 될 거라며 기대가 크다. 그런데 관계자들의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doi: 10.1038/s41586-020-3010-5 사람의 흔적은 오지에서도 발견된다. 기후 변화로 극지방
생태
가 바뀌거나,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인 마리아나 해구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발견되는 것이 그 예다. 인간 활동은 말그대로 지구를 바꾼다. ‘인류세’는 이렇게, 인간이 지구에 되돌릴 수 없는 흔적을 남기고 ...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퇴적물이 물의 흐름을 방해해서 물이 역류하고 범람할 위험이 커진다는 것이다. 많은
생태
학자들은 습지를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습지가 물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스펀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원리로 2018년 중국 정부는 도시의 물 순환을 원활히 지원하기 위해 ... ...
[기획] 호주엔 원래 토끼가 없었다? 생물보안의 중요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인식이 중요한 거죠. 만약 동식물을 이전에 그들이 존재하지 않았던 장소에 풀어놓는 등
생태
계 안전에 위협될 만한 행동을 하거나 목격한다면, 환경 당국에 적극 알려야 합니다 ...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먹어도 살 수 있는 생물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생태
계 먹이사슬에서 논외로 취급됐던 바이러스가 먹이사슬의 중요한 일원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 네브래스카-링컨대 생물과학부 연구팀은 담수에 사는 섬모충 플랑크톤인 할테리아(Halteria)가 바이러스만 섭취해도 성장과 번식이 가능하다는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진화적 연결고리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필자소개이세인. 이화여대 행동
생태
연구실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현재 스위스 로잔대 방문 연구원으로 머물며 영장류 인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seinlee20@gmail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