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선진"(으)로 총 1,5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주석 작업도 진행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을 일찍 시작한 해외 선진국은 공개된 AI 학습용 데이터를 다량 보유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이런 데이터가 없어 AI에게 국내 도로 상황을 학습시킬 자료를 구축하는 작업부터 진행했다”고 말했다. 에트리카는 주변 상황을 ... ...
- [Issue] 대륙의 실수? 사실은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만~2만 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3만~4만 원대. 소비자는 샤오미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선진국 따라잡기 전략을 버린 중국은 차별화 전략을 택했다. 올해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8’에서는 중국의 이런 전략이 확연히 드러났다. 중국의 10여 개 기업은 각종 ... ...
- 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한다는 입장과 환경 보호를 위해 계속 연구 목적으로 둬야 한다는 입장을 두고 남극 연구 선진국들이 팽팽히 맞서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펭귄부터 운석까지, 남극에서 보물 찾기!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Part 3. 우주에서 ...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높은 에너지의 입자를 얻을 수 있어서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다. 유럽뿐 아니라 일본 등 선진국들이 ‘거대 가속기’를 선호하는 이유다. RAON 韓 중이온가속기 기초부터 응용까지 ‘멀티 플레이어’ “중이온가속기 ‘라온’의 장점은 기초과학과 응용과학, 산업 분야에서 모두 활용할 수 ...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업무회의에서 ‘과학기술혁신 2030 중점 프로젝트(과기혁신 2030)’ 가동을 공표했다. 선진국 따라잡기에서 벗어나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의 도약을 예고한 것이다. 막강한 생산력을 발판으로 2020년까지 혁신형 국가 대열에 진입하고, 2030년에는 혁신형 국가의 선두에 올라서는 것이 목표다. 6개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과정은 당연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양에서 질로 변모 중물론 중국의 과학기술이 선진국 따라잡기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막대한 양적 투자의 결과라고 무시하는 소리도 들린다. 하지만 한국이 반도체 최강자의 자리에 오른 과정을 생각해보면 중국의 현재를 그냥 무시하기는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도핑 사태 이후 공인 기준이 매우 까다로워졌다. 미국, 프랑스 같은 선진국도 자격박탈 처분을 받았다가 회복됐을 정도다. 1984년 설립된 DCC는 평창 동계올림픽의 공식 도핑랩으로 활동하기 위해 1월 말 또 한 번의 공인을 받는다. 극미량 대사체로 정확도 높였다공인 기준을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한국보다 한참 뒤떨어진 나라라고 생각했다. 미국, 유럽, 일본 등 내로라하는 기술 선진국에서 열렸던 학회들과 달리 2011년이 돼서야 중국에서 개최한 학회에 참석한 이유이기도 했다. 그런데 심포지엄 참가는 중국에 대한 이미지를 완전히 바꾼 계기가 됐다. 가장 놀라웠던 건 학회에 참석한 젊은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럽 등 우주 선진국들도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인 만큼 한국이 적극적으로 동참한다면 선진국의 반열에 오를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韓, 포스트 ISS 시대 준비 활발국내에서도 포스트 ISS 시대를 준비하는 움직임이 분주하다. ISS가 걸어온 20년의 역사에서 한국의 우주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KISTEP 미래예측본부장은 “KISTEP 내부 분석 결과 국내 인공장기 분야 기술경쟁력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아직 부족한 수준이어서 국가 연구방향을 설정해 역량을 집결할 필요가 있다”며 “대학, 국책연구기관, 기업이 서로 협력해 성과를 바로 산업화하는 ‘이노밸리(혁신지역)’ 형태의 지원도 적극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