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장"(으)로 총 1,4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려동물에 채식 권하면 안 되는 이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후각세포가 200만~1000만 개뿐인데, 개는 8000만~2억 2000만 개, 고양이는 6000만~7000만 개다.조 소장은 “고양이는 감각에 매우 예민한 동물로 냄새에 스트레스를 강하게 받는다”며 “이런 이유로 고양이 전문 동물병원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은 화장품이나 향수도 뿌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 ...
- 제보 분석 │ UFO 비행 특성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편집자 주. 이 글에 등장한 제보 영상의 사례 및 분석 결과는 한국UFO조사분석센터의 자체조사와 추론의 결과다. 과학계의 동료평가를 거친 결과는 아님에 유의하자. 이상한 형태, 이상한 움직임. ‘미확인비행물체(UFO)’를 조사하는 민간 단체인 한국UFO조사분석센터에는 하늘에 뜬 이상한 불빛 ... ...
- 탄소중립 성패 따라 세계 질서 재편될 것… 혁신 에너지 기술로 기회 삼아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집중적으로 연구할 예정이다(표 참조). 현재 5대 분야 각각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연구소장을 맡을 분야 최고 전문가들을 섭외한 상태다. 여기에 젊은 신진 연구자들을 교수로 임용해 변화를 이끌 팀을 구성하고 있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장과 연구처장을 맡으며 내실 있는 기술 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 ...
- [특집] 수학으로 뚝딱뚝딱! 어린이가 만드는 놀이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놀이북 4쪽, 24쪽과 함께 보세요! 안녕! 난 지민이야. 놀이터에서 노는 게 너무 좋아서 놀이터를 만드는 사람이 되는 게 꿈이지. 그런데 내게 기회가 왔어. 나와 함께 놀이터 디자이너가 돼 보지 않을래?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수학으로 뚝딱뚝딱! 어린이가 만드는 놀이+터Part1. [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알쏭달쏭 전개도 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퍼즐을 즐기다 보면 직육면체 전개도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어요! 수콤 연구소장, 달콤 요리사와 함께 직육면체 전개도의 세계로 풍덩 빠져보세요! 알쏭달쏭 퍼즐 1 아래 그림과 같은 정육면체가 되려면 정육면체의 전개도는 1 , 2 , 3 중 무엇일까요? 예시 문제를 풀고, 직접 전개도 퍼즐을 만들어 ... ...
- [한페이지 뉴스] 18년만에 승인된 알츠하이머 치료제, 학계는 여전히 논쟁 중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신약 허가는 환자들에게 희소식이다. 패트리샤 카바조니 FDA 약물평가 및 연구센터 소장은 “추가적인 임상시험이 필요하지만,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에 진전이 있다는 점이 큰 성과”라며 “수년 이내에 새로운 약물 후보를 승인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 [특집]생물 주권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어흥~, 과일 하나 먹으면 안 잡아먹지! 호랑이 농부가 만든 다양한 과일들을 맛보렴. 딸기가 왜 태극기를 들고 있냐고? 우리나라 과일이 생물주권을 지키기 위해 독립운동을 하고 있어. 생물주권을 지키는 길, 함께 따라오라흥!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생물주권을 지켜라!Part1. 딸 ...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세 조각으로 갈라진 천개석의 불완전함이 함께 담겨 있다. 최봉림 한국사진문화연구소장은 이번 기증 당시 국립문화재연구소와 함께 발간한 책 ‘석굴암, 그 사진’에서 이 사진에 대해 “한석홍의 아주 선명하고 디테일이 잘 드러난 자료사진이 그 어떤 예술사진보다도 더 삶의 실체를 불현듯 ...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관찰해 4년간 40여 종의 그림 기록을 완성했다. 이 그림은 국가 생물종 데이터베이스에 소장됐으며 사람들에게 국내 구과식물을 알리는 식물도감 연구 간행물의 삽화로 활용됐다. 식물세밀화 연구, 보존은 또 다른 과제국립수목원에서 4년간 일하고 난 뒤 나는 프리랜서로 일을 시작했다. ... ...
- 백남준의 꿈에 전기를 수혈한 작가의 ‘손’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있다. 수리를 위해 독일에서 건너온 작품이었다. 인터뷰 며칠 전에는 대전시립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 ‘프랙털 거북선’을 수리하기 위해 출장을 다녀왔다고 한다. 발열이 많아 화재 위험이 있는 작품에 설치할 온도 감지기가 작업대 위에 놓여 있었다. 2006년 백남준 작가가 작고한 뒤로는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