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탈것
자동차
차량
차
운송수단
마차
d라이브러리
"
수레
"(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관심속에서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튼 서양의 중세에 그렇게 흔했던
수레
바퀴지도가 사라진 17~18세기에 유독 조선에서만 널리 퍼지고 있었다는 것은 매우 흥미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세계를 둥글다고 생각한 조선시대 학자들에게는 원(圓)속에 추상화된 세계지도가 오히려 ... ...
로봇 곤충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사용될 수 있는 팔다리와 매우 특수한 두뇌를 갖춘 다목적 작용장치다. 인간은 무거운
수레
를 미는 것부터 심포니를 작곡하기까지, 나무를 베어 쓰러뜨리는 것부터 파일카드를 알파벳순서로 정리하기까지 똑같은 두뇌와 같은 근육들의 집합으로 참으로 많은 종류의 일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자그마치 26만kg. 4t 트럭으로 환산하면 65대의 분량이다.물론 고려시대의 운송수단은 배와
수레
가 전부였다. 이 엄청난 재료를 5백대 이상의 우차로 운반했을 것이라고 상상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마도 사람이 한장씩 운반했을 것이다. 그것은 ... ...
PART 3 세계의 첨단로봇 총집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모터를 탑재한 로봇도 선보이고 있다. 이 로봇은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또 흡판 대신
수레
바퀴나 자석물질을 구조하기 위한 벽면이동로봇도 개발중이다.■자동 봉제 로봇봉제작업과 같은 단순 반복작업을 인간이 한다는 것은 인간만이 가지는 특성을 살리지 못하는 일이다. 설사 일을 한다 하더라도 ... ...
PARTⅠ 도시교통문제를 보는 시각 달라져야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수레
바퀴의 발명으로부터인간이 이룩한 기술발명중 가장 위대한 업적으로 평가되는
수레
바퀴가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인에 의해 B.C.3500년경 처음 만들어 진 이래 교통분야는 끊임없이 발전을 거듭해 왔다. 동력원도 소 말 내연기관으로 계속 탈바꿈 됐다. 또 도로건조 및 포장기술이 개발되고 ... ...
정보화 사회를 향한 기차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부가가치를 실어나른다18세기말 증기기관차의 기적소리와 함께 산업혁명의 거대한
수레
바퀴가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듯이 20세기말인 지금 뜨겁게 달아오르는 VAN열풍은 정보화사회를 향한 새로운 혁명을 예고하고 있다.증기기관으로 상징되는 산업혁명은 단순히 수공업의 기계공업으로의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하고 때로는 고뇌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고 마침내는 진실을 당당하게 밝혀 역사의
수레
바퀴를 한발짝 전진시키기도 했다.조선대 이철규군 변사사건 때 윤중진 굴립과학수사연구소장은 불검결과를 발표하면서 "과학은 '있다' '없다' '모른다' '안다'의 명쾌한 세계"라며 세간의 의혹을 일축하려 ... ...
동양최초로 지전설(地轉説) 주장한 홍대용(洪大容)의 독창적 우주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하고 연자방아의 나귀처럼 공전을 하는데, 이것들은 모두 별의 세계에 속한다. "칠정은
수레
바퀴와 같잊 ㅏ전을 하고 연자방의 나귀처럼 공전을 하는데, 이것들은 모두 별의 세계에 속한다. 대개 오위(금성 목성 수성 화성 토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태양과 달은 지주를 중심으로 돈다." 이것은 티코 ... ...
헝가리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분위기가 짙은 농가가 많은 지방이다.그리고 이일대 작은 마을 예배당의 목제천정에는
수레
국화 석류 튤립 등의 꽃이 그려져있고 뜰 한쪽에는 목제의 종루가 조용히 서 있다.조금 남쪽으로 내려가 루마니아 국경에 가까운 니르바토르마을에도 독특한 성당이 있다. 이 성당에서는 매년 콘서트가 ... ...
「콜럼부스 신화」속의 거짓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결정적 이유가 되곤 했다.고대의 지동설은 이처럼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고 역사의
수레
바퀴 속에 파묻혀 버렸다. 그렇지만 코페르니쿠스 이전에 지구의 운동을 생각한 사람으론 '아리스타쿠스' 이외에도 중세의 몇몇 과학자들이 있었다. 대개 신학과 관련된 철학적 문제를 연구했던 중세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