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토로라
하늘
공중
천계
천공
허공
스카이라인
d라이브러리
"
스카이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항공 스포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속도를 낼 수 있다.● 자동산개기(Automatic Activation Device) : 주낙하산에 이상이 생겼거나
스카이
다이버가 낙하산을 펴지 못했을 때 일정 고도에서 자동으로 예비낙하산이 펴지도록 한 안전장치. 주낙하산과 예비낙하산이 모두 안 펴질 확률은 15만분의 1이다. 패러글라이딩낙하산(parachute)과 행글라이딩 ... ...
PART1 컴퓨터 바이러스는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악성코드다. 이때 세계적으로 100만대 이상의 컴퓨터가 앓아누웠다. 특히 ‘베이글’ ‘넷
스카이
’ 웜과 함께 서로를 공격하거나 치료해주는 등 여러 변종을 만들어내며 ‘웜 삼총사’로 사이버 세상을 누볐다.2004년부터 바이러스는 완전히 다른 목적을 갖고 세상에 나왔다. 지금까지 바이러스의 ...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밝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줄일 수 있는 좋은 기회다.국제적인 광공해 방지 기준 제정을 주도하는 국제다크
스카이
협회(IDSA)는 조명을 아래로 향하게만 해도 광공해의 50~90%를 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제부터라도 필요 없는 불은 끄고, 등에 갓을 씌우는 작은 일부터 해보면 어떨까.결국 광공해는 빛 자체가 문제가 있어서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공포반응을 이용해 돈을 버는 셈이다.‘스릴’은 1차 공포반응의 일종이다. 번지점프나
스카이
다이빙을 하는 사람들은 무의식적 공포반응을 즐기는 것이다. 김 교수는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스릴을 추구하는 현상은 인간에게만 독특하게 나타나는 고등한 뇌 기능”이라며 “아마도 높은 차원의 ... ...
혼자 힘으로 만든 공상과학영화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편성하는 소동을 낳았다. 100억원의 제작비가 든 국산 대작 ‘원더풀데이즈’도 ‘
스카이
블루’라는 제목으로 이 영화제에 소개됐다.이 영화제의 또다른 특징은 심야 프로그램. 행사 첫해부터 꾸준히 마련된 심야 프로그램은 짧은 행사기간에 많은 영화를 걸고 싶은 주최측과, 의미있는 영화를 ... ...
슈퍼컴퓨터로 우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현재 하늘의 25%에 걸쳐 지구에서 대략 30억 광년 이내의 우주를 측량하는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라는 세계 최대의 우주 측량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08년 8월까지 100만개의 은하에 대한 거리, 밝기, 모양 등을 측량할 계획이다. 2000년부터 미국, 독일, 일본 중심으로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먹은 뒤에는 친구들과 공중 정원에서 구름 밑의 대지를 바라보며 산책을 즐겼다. 밤에는
스카이
라운지에 앉아서 별빛처럼 반짝이는 도시의 야경을 즐겼다.”1909년 첫 초고층 건물 등장 꿈을 꾸고 있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위에서 묘사한 ‘초고층 생활’은 가까운 미래의 일상적인 생활이며 절대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배낭로켓 휴게소가 생길지도 모른다. 배낭로켓에 넣을 연료를 충전해야하기 때문에
스카이
휴게소에는 로켓엔진 충전소도 있어야 하고, 공중비행을 하면서 먹을 수 있는 배낭장착용 음료수나 잠시 쉬면서 먹을 수 있는 찐 감자와 떡볶이를 파는 스낵 코너도 있어야 할 것이다. 하늘에 떠있는 공중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방어하기 위해 인간을 해친다. ‘터미네이터 3’에서는 고도로 발달된 기계네트워크인 ‘
스카이
넷’ 이 자신을 자각한 후 기계들의 반란을 유도해 인류에 무차별 핵공격을 퍼 붓는다. ‘애니 매트릭스’ 에서는 어느날 인간에게 불복종의 마음이 생긴 기계들을 인간이 탄압했고, 독립국을 건설한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사실을 즉각 깨달았다. 이때 숙소에서 흘러나온 노래가 바로 비틀즈의 ‘루시 인 더
스카이
’ 였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란 복잡한 학명을 지어준 요한슨은 이날의 감동을 잊지 못해 ‘루시’ 라는 애칭도 붙여줬다.“4년 뒤인 1978년 탄자니아 라이톨리에서 발견된 발자국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