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민"(으)로 총 1,0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바다로 돌아간 제돌이는 잘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간혹 등지느러미에 숫자가 새겨진 돌고래들이 수족관 출신이다. 이들은 핫핑크돌핀스 등 시민사회단체의 도움으로 몇 년 전 가까스로 자연에 돌아왔다. 그러나 너무 오랜 시간 수족관에 갇혀 있던 돌고래들은 야생에서의 생활이 오히려 쉽지 않아 보였다. 금등이는 6~7살쯤, 대포는 3~4살에 포획된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봄에 만날 수 있는 생물을 관찰한 기록을 올려주었어요.언제 봐도 반가운 제비와 열심히 먹이를 찾는 나비와 개미, 멋쟁이 거미까지!지구사랑탐사대 10기 대원들이 만난 생물종들! 지금 확인해 보아요~! 거미 노연서 대원 깜냥깜냥 팀 탐사 생물 거미발견 위치 전 ... ...
- [현장취재] 올해로 10살!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깡깡깡깡” 소리가 울려퍼졌어요. 지구사랑탐사대 1기부터 양서류를 탐사한 유상홍 시민연구원이 입으로 흉내낸 개구리 소리였지요. 겉보기에 서로 비슷한 개구리 종을 어떻게 구분하냐는 대원들의 질문에, 유 연구원은 직접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의 울음소리를 선보였죠. 이어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봄에 만날 수 있는 생물을 관찰해 기록을 올려주었어요.반가운 제비와 도롱뇽의 알, 부지런히 먹이를 찾는 나비와 개미, 아름다운 현호색까지!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만난 생물종들! 지금 확인해 보아요~! 제비곽용준 대원 같이ㄹㄹ 팀탐사 생물 제비발견 위치 서 ... ...
- [공지] 시민과학 풀씨 지사탐 심화 탐사도 놓치지 마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10기 대원 중 숲과나눔 시민과학풀씨 연구자와 함께 심화 프로젝트를 진행할 시민과학자들이 선발되었어요. 약 6개월 동안 연구자들과 직접 소통하며 탐사 방법을 배우고 함께 데이터를 모을 예정이죠. 지금도 지사탐 대원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니, 어떤 연구가 진행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봄에 만날 수 있는 생물을 관찰해 기록을 올려주었어요.화사한 개나리부터 귀여운 깡총거미, 붉은 꼬리가 멋진 홍여새까지! 정말 다양했지요.생태 연구원이 지사탐 대원의 질문에 답해주는 ‘궁금해요’ 코너도 놓치지 마세요.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만난 생물종들! 지 ... ...
- [과학뉴스] 휴대용 선풍기, 정말 위험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발생하는 전자파는 인체보호기준의 2.2~37% 수준으로 모두 안전기준을 충족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사용한 계측기의 정확도도 지적했다. 과기정통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주파수 별로 전자파를 측정할 수 없고, 전자파 측정 안테나 크기도 국제표준 조건에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 ...
- 철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경사로에 취약하다는 이유로 2013년 1월 5일을 마지막으로 운행이 종료됐죠.부산 지하철의 시민기관차 체험도 해봤습니다. 종점에서 열차를 멈출 때의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었죠. 이후 희귀한 열차를 보기 위해 짬짬이 기차를 탔고, 촬영도 했습니다. 이런 여정 중 KTX 기장에게 기장용 작업모를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서울 지하철 1, 2, 7 그리고 9호선 등의 운행이 지연되거나 중단됐다. 차량을 이용하던 시민들은 침수된 차를 두고 떠났고, 다음날 물이 빠진 도로엔 주인 없이 남겨진 차량이 뒤엉킨 채 드러났다. 하룻밤 새 침수된 차량만 5천여 대. 트위터엔 ‘아포칼립스’란 검색어가 트렌드였다. 아포칼립스, ... ...
- [특집] 모스큘라를 피하려면 모기 예보를 보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연구팀에서 5~10월 사이의 모기 발생 가능성을 수치화해 모기 발생 단계를 예보하고 시민들에게 행동요령을 알려주지요. 연구팀은 모기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모기 개체 수 예측 계산식을 세웠어요. 이때 ‘디지털 모기 측정기(DMS)’에서 측정한 모기 수와 모기가 발생하기 쉬운 기후나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