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당장
직석
즉좌
d라이브러리
"
앉은자리
"(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애플에서 매킨토시로 좁스의 비전과 제록스의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애플의 역사는 개인용컴퓨터(PC)의 역사와 같다. PC개념을 처음 만들어낸 애플은 1981년 IBM PC의 등장으로 왕좌의 자리를 빼앗겼으나, 1984년 '매킨토시'를 개발해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들은 사업기획으로 시작됐다. 그러나 애플은 꿈으로 시작했다. 그 꿈은 사업가 학생 교육 ... ...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은신술에 도가 튼 꿩은 적이 가까이 다가와도 별 걱정을 하지 않는다. 게다가 청각까지 예민하니….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텃새인 꿩은 사시장철을 두고 산과 들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정다운 새다.꿩은 번식력이 강하고 어떠한 기후에서도 적응해 나간다. 5색의 빛깔이 매우 아름답고 찬란한 무 ... ...
너무 먹어도 탈, 너무 안먹어도 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게걸증은 국내에서 흔한 병은 아니지만 「말라깽이」 전성시대가 펼쳐짐에 따라…"식이이상(食餌異常, eating disorder)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아예 먹지 않는 식욕부진증이고 다른 하나는 너무 먹는 걸식증이지요. 물론 이 둘 다 흔한 질병은 아니지만, 우리에게도 이제 ... ...
PARTⅡ 센서 SENSOR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그들은 놀라운「감각」이 발휘되면 혈당쯤은 앉은 자리에서, 종래에 5일 걸렸던 BOD는 수분만에 밝혀지고 만다.올해 우리나라에서 전 국민을 의료보험에 가입시키면서 진료기관을 1차 2차 3차 기관으로 분류하였다. 이처럼 진료기관을 분류한 기준은 의료기관의 크기를 나타내는 병상수였다. 병원이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1957년의 비밀 핵실험으로 전체가 바다 밑으로 가라 앉아 버린「하이아이에이」군도에 초진화 생물인 진귀한 포유류가 살았음이 최근에 공개되었다.비밀 핵실험으로 사라져 지금은 전설의 섬이 된 태평양의 하이아이에이군도(Hi-Iay Islalnds).이 섬에서는 비행류(鼻行類)라는 기이한 동물이 살고 있었 ... ...
집요한 추적, 능률적인 집단해동 늑대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늑대는 자신보다 훨씬 빠른 사슴을 사냥한다. 놀라운 지구력이 그 비결. 일단 시작했다하면 끝장을 보고마는 천부의 추적자.늑대는 우리들 모두의 귀에 익숙한 동물이다.흔히 만날 수 있는 동물도 아니면서 가까운듯 느끼는 것은 늑대가 세상의 온갖 좋지 못한 버릇의 대명사로 비유되고 있기 때문 ... ...
휴대용 전화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주머니 전화기를 넣고 다니면서 어디에서나 통화할 수 있는 '포킷폰'시대가 열리고 있다.언제든지 어디서나 누구와도 전화할 수 있는 시대가 마침내 우리나라에서도 막이 올랐다.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체신부는 한구이동통신(주)이 제출한 휴대용 전화설치 및 요금안을 승인함으로써 서울지역에 ... ...
훌륭한 천체관측시설갖춘 경기도 학생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306㎜ 카세그레 인식 반사망원경을 이용해 별자리를 관측하고 있는 우주소년단원 K군은 스스로 만든 로킷을 타고 직접 별세계를 탐사할 계획을 갖고 있다. 태양과 달 행성들을 꾸준히 관찰해온 K군은 엊그제 시험발사에 성공한 로킷이 불과 수십m이기는 하나 창공으로 솟아오를 때의 감격을 아직도 ... ...
대통일이론의 아버지 셸든 글래쇼 Sheldon Glashow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뉴욕 맨해턴 섬 북쪽에 자리한 '브롱크스'구. 그곳 나지막한 근로자 아파트촌 넘어 저수지와 지하철고사이에는 웅크리듯 다소곳이 들어 앉은 빨간 벽돌건물이 있다. 지상층의 창문은 굵은 철망으로 내리고 간혹 깨진 유리창은 베니어 판자로 덮은 이 평범한 건물이 바로 세계에서 가장 이름난 과학 ... ...
초능력을 군사목적에 쓴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SF의 소재가 되었던 초능력의 연구 실험이 미·소를 중심으로 맹렬히 진행되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목적에 있다.초능력 또는 초감각적 지각이라고 번역되는 ESP(extra sensory perception)는 이제 흥미거리 SF의 대상만은 아니다.그것은 놀랍게도 강대국의 군사목적에 이용되고 있다.핵무기에 대한 세계 여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