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장"(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맞을 것이라는 전망이 1990년대부터 나왔지만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면서 수명이 계속 연장되고 있다. 다치논리회로의 표준 기술이 무엇이 되는지에 따라 기업체가 생산공정을 모두 바꿔야 할 수 있고, 소자를 넘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연구도 뒷받침 돼야 한다. 김경록 UNIST 교수는 이런 점에서 “아직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빨아들이거나 숨을 들이마시는 것을 표현할 때 쓰이지요.한편 ‘수(收)’는 ‘손(手)’에 연장을 들고 농작물을 거두어들이다’는 뜻을 가져요. 따라서 ‘흡(吸)’과 만나 ‘빨아들여 거두어들이다’를 의미하는 ‘흡수’라는 단어를 만들어 낸답니다. 과학에서도 ‘흡수’의 뜻을 쉽게 찾아볼 수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번째 공준이라고 말했다. 내용은 ‘평행선은 같은 평면 위에 있고, 어느 방향으로 무한히 연장해도 절대로 만나지 않는 두 직선이다’였다.“그럼 유클리드 아저씨가 이곳을 빠져나갈 수 있는 방법은 다섯 번째 공준과 관련이 있는 건가요?”“제가 빠져나갈 방법은 단 하나. 제가 달리고 있는 이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밝혔다. 외로움을 덜 느끼는 사람들은 사회관계의 연장선으로 페이스북을 이용한다. 그래서 자신의 의견을 담벼락에 자주 쓰고, 다른 이의 글에 댓글을 많이 단다. 하지만 자신의 글과 사진에 ‘좋아요’를 몇 명이나 눌렀는지에 대해서는 별 관심이 없다. 이에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캐스터 지문추 아, 지금 이란 선수가 매트에 쓰려져 일어나고 있지 못합니다. 3분의 연장 시간 중 1분 20초가 남아있는 상황.해설자 이서명 아직 8강인데요. 벌써 탈진 증세가 왔다니 컨디셔닝에 실패한 것 같습니다. 경기 직전까지 체급 조절을 해야하는 유도는, 컨디셔닝이 경기에 큰 영향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우리는 빛이 직진해서 우리 눈이 보이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빛이 직진한 연장선에 물체가 있는 것으로 봐요. 그래서 실제보다 물체가 작게 보인답니다.한편 볼록렌즈는 빛을 꺾어서 모이게 하므로 물체가 더 크게 보여요. 그런데 재미있게도 볼록렌즈의 경우 멀리 있는 물체는 오히려 거꾸로 ... ...
- [수학동아클리닉] 거울 속 수학세상이 보이는 마술피리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짧은 거리를 찾을 수 있을까? 입사하는 빛의 경로를 연장해 그린 뒤, 거울을 대칭축으로 연장선을 꺾어 올리는 방법으로 빛의 최적 경로를 구할 수 있다. 이때 입사각의 크기와 반사각의 크기는 같다.이러한 빛의 성질을 생각해보며 거울 반사의 원리를 이용한 재미있는 장난감을 만들어보자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비정함은 점점 일상화된다. 우리는 하루하루의 삶을 마치 치열한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연장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경쟁은 필연이 아니다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진화해왔다. 그러나 인간의 뇌가 경쟁에 맞도록 이미 방향이 정해져 버렸다는 것은 아니다. 인류가 지닌 고도의 사회적 인지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임상시험용으로 수술됐지만, 합병증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수술을 받을 만큼 생존 연장 혜택이 크지 않아 2016년 현재 아비오 메드사는 추가 제품 개발을 포기한 상태다. 인공 혈액적혈구를 대신해 산소를 운반하는 인공 분자. 멸균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 위험이 적고, 최대 3년까지 실온에서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의학에서는 이미 검증이 확실하게 된 전통적인 연구를 연장시켜 나가는 방향을 선호하는 반면, 공학은 기존 연구를 벗어나 좀 더 창의적이고 새로운 걸 만들어 내려고 한다는 점이 다릅니다.남다은: 화학생물공학부에서 이런 연구도 할 수 있다는 게 놀랍습니다.황석연: 그게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