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완료"(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도체와 부도체 구별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깎은 연필을 꽂을 거예요. 한쪽 심이 플라스틱 막대의 금속 링에 닿도록 꽂으면 준비 완료! 이제 금속 링과 반대쪽 연필심이 피아노 보드 선에 닿도록 대 보세요. 어떤 음이 들리나요? 각각의 선이 어떤 음을 내는지 알아보고 선을 넘나들며 연필을 움직이면, 음악을 연주할 수 있어요.이는 연필 속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진공용기 섹터를 완성해 공급했다. 초전도 도체도 한국이 ITER 회원국 중 최초로 공급을 완료했다. 초전도체는 플라스마를 가둘 수 있는 거대한 자기장을 생성하는 부품으로, 지름 0.82mm의 초전도 선재 수천 가닥을 꼬아서 지름 43.7mm의 초전도 도체를 만든다. 한국이 제작한 초전도 도체 전체 길이는 1 ...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정교한 그래픽이다. ‘이걸로 대체 뭘 할 수 있을까?’ 지난 7월 1일, 1단계 구축이 완료돼 공개된 서울시 3차원(3D) 지도 ‘스마트 서울맵(S-MAP)’의 첫인상은 일단 호기심을 자극했다. 건물 60만 동 3D로 구현 “항공사진 2만 5463장을 모델링해 만들었습니다. 롯데월드타워처럼 압도적으로 높은 건물은 ... ...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부품 조립은 올해 7월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계획보다 늦었지만, 2025년 말까지 ITER 건설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밤낮없이 작업하고 있다. Q. ITER는 7개 국가가 참여한다. 회원국의 임무는?→ 현재 모든 국가는 ITER 건설에 필요한 부품을 개발하고 조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을 포함해 모든 회원국의 ...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NIAC가 뭔지 알았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연구 계획들을 훑어볼까? 우선 내 소설의 출발점인 달 연구 계획부터 봤지. 세상에, 상상력이 대단한걸? 이러다 과학자들 ... 만들기 위해 수많은 디자인을 그려봤어요. 가야 할 길이 멀지만, 아마 이번 연구를 완료하면 더 정확한 계획이 나올 거예요 ... ...
- 가죽을 남긴 호랑이에게 숨을 불어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25도로 유지되는 냉동고에서 사체를 꺼낸 뒤 냉장고에 넣고 해동시킨다. 해동이 완료된 뒤에는 몸 구석구석 사진을 찍고 신체 부위별 치수를 측정한다. 박제 표본의 크기를 실제와 같이 만들기 위해서 꼭 필요한 작업이다. 다음은 복부를 절개해 가죽을 벗긴다. 혹자는 이 과정에서 피가 철철 흐르고 ... ...
- 숫자로 보는 2020학년도 1학기 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중 잠정 연기된 NASA 보드를 제외한 ROBOT 보드와 AI 보드의 모든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완료됐습니다. ROBOT 보드는 어드바이저인 오준호 KAIST 석좌교수의 유튜브 라이브 특별 강연에 이어 체험 프로그램으로 ‘휴보랩투어’와 ‘로봇 아이디어 포스터 발표 및 멘토링’이 이뤄졌죠. AI 보드는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보이틀러는 LPS 수용체를 찾는 데 성공했고, 1998년 LPS 수용체의 전체 유전자 분석까지 완료했다. LPS 수용체는 초파리에 있는 톨 수용체에서 이름을 따 ‘톨 유사 수용체(TLR)’라고 부르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서로 다른 항원과 결합하는 약 10여 종의 톨 유사 수용체를 가진 것으로 ...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제약이 생기는 문제는 카메라를 달아 해결했다. NASA는 올해 하반기 X-59 퀘스트의 조립을 완료하고 2021년 첫 시험비행을 진행할 계획이다. X-59 퀘스트의 소음측정장치를 개발한 NASA의 케빈 바이너트 프로젝트 매니저는 “충격파가 만드는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소음을 측정한 결과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상황과 발사시각, 날씨, 발사작업 스케줄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발사준비가 완료됐다는 판단이 선 것이다. 발사 예정 시각은 오후 5시였지만 발사작업은 오전부터 바쁘게 진행됐다. 발사체에 연료와 산화제를 충전하는 작업에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오후 3시경 1단 연료탱크에 충전을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