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주
객체
바깥
밖
바깥세계
외부
주위
d라이브러리
"
외계
"(으)로 총 97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중심별의 죽음에서 살아남은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살아있는 행성이 발견됐다. 조슈아 블랙맨 호주 태즈메이니아대 자연과학부 연구원팀은
외계
행성 MOA-2010-BLG-477Lb가 백색왜성의 주변을 공전하면서도 여전히 생존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미국 하와이의 켁(Keck) 천문대 망원경으로 포착한 미시중력렌즈 현상(microlensing ... ...
[에디터노트] 카테고리 없음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존재하는지 되물었습니다.UFO를 둘러싼 논의는 많은 부분에서 현대 과학과 상충합니다.
외계
생명체를 연구하는 우주생물학 분야조차 UFO 논의와는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과연 UFO는 과학의 한계를 보여주는 현상일까요, 아니면 또 하나의 미신일까요. 다양한 비판적 독해 가능성을 여러분의 몫으로 ... ...
만난 듯 못 만난 듯 문화 속 UFO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찾아볼 수 있는 디스커버리, 내셔널지오그래픽과 같은 방송국에서는 수십 년 동안 UFO와
외계
인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꾸준히 내보냈고, 신문에서는 UFO 목격담이 1면을 장식하기도 했다. ‘인디펜던스데이’나 ‘우주전쟁’과 같은 SF 영화가 개봉하면 현실에선 어김없이 UFO 목격 제보가 증가했다 ... ...
[과동프렌즈] 꿈을 찾는 새로운 시작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이슈를 접할 수 있어 즐겨 읽었다”며 “특히 과학동아에서 읽은 철 비가 내리는
외계
행성 ‘WASP-76b’가 입시 시험에서 그대로 출제돼 합격에 큰 도움이 되기도 했다”고 말했다.서울과학고에서의 생활은 다양한 경험과 깨달음으로 가득했다. 화학 공부를 위해 카페인을 추출하는 실험을 준비하며 ...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UFO라고 하면 으레
외계
에서 온 비행체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기체의 형태와 비행 방식이 지구에서 만들어진 비행체라 하기에 부자연스러운 때가 많아서다. ... 느리겠지만, 이런 비행체가 하늘을 휘젓는 모습만으로도 누군가에게는 비밀스러운
외계
비행체로 여겨질 수도 있지 않을까 ... ...
미 국방부 보고서 행간 읽기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쓴 보고서 요약문을 통해 UFO가 과학 기술적으로나 국가 안보상 전혀 중요하지 않으며
외계
문명과의 관련성을 찾아볼 수 없다고 단정했다. 이 같은 결론에 의해 1969년 말 프로젝트 블루북은 종결됐다.그 뒤에도 미국에서 UFO 소동이 몇 번 일어났으나 국가 차원의 공식적인 UFO 조사팀은 다시 운용되지 ... ...
[SF 소설] 화성의 칼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장치의 연료로 쓰려고 지구인들을 사냥한 건 사실이었지만 지구에 도착한 뒤로도 이들
외계
생물 시체는 멀쩡한 상태로 남아있었다는 걸 생각하면 먹잇감이라는 건 더더욱 말이 안 됐다. 그리고 같은 뿌리에서 진화한 두 동물의 모양이 이렇게 극단적으로 다른 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오로지 ... ...
[한페이지 뉴스] 지구에서 단 36광년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 관측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빛 파장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외계
행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도 있다. 멀리 떨어진
외계
행성들이 명확하게 이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COCONUTS-2b는 질량도 목성의 약 6배로 크고, 항성과 매우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6471AU) 110만 년 주기로 매우 빠르게 공전하는 특성상 비교적 쉽게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감시 역시 광학장비를 주로 활용한다. 인공우주물체를 감시하는 아울넷과 더불어
외계
행성을 탐색하는 데 쓰이는 광학망원경 ‘KMTNet’도 1년에 75일(3개 관측소 기준)은 자연우주물체를 관측하는 데 활용된다. 다만 소행성은 표면반사율이 매우 낮아 크기가 작은 경우 지상에 설치된 광학망원경으로 ... ...
[화보] 꽃과 나무가 전부 이 안에! 현미경으로 본 자생씨앗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8호
매끈매끈, 동글동글 길쭉길쭉, 뾰족뾰족 복슬복슬....혹시
외계
생명체일까요? 사실 이것들은 우리 자연에서 나고 자라는 ‘자생식물’의 씨앗입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운영하는 시드볼트*에 저장된 씨앗이지요. 아주 작은 씨앗 안에 꽃과 풀, 커다란 나무가 모두 들어있는 것 같아요. 씨앗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