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효
에너지
에네르기
d라이브러리
"
유효에너지
"(으)로 총 152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수공법건축 지진 이겨낸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내진설계(耐震設計)의 중요성은 지진피해지역에서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일본 효고현 남부대지진(兵庫縣 南部 大地震)에서도 내진설계가 잘된 건물들은 큰 피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4년 발생한 괌의 규모 8.2대진진시에도 내진설계가 잘된 건물은 가벼운 피해를 입었다. 현재 일정규모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전국의 각 분야 전문과학 기술자들이 제안한 3만여 개의 예측대상 과제 중 약 1천2백 개의 과제를 선정, 4천5백명의 과학기술자를 상대로 설문조사한 제1회 과학기술예측조사가 나왔다. 이 예측조사 결과에는 2000년대 한국의 과학기술력과 세계 빅7의 비전이 담겨 있다.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 ... ...
물리- 분자, 질량 작을수록 빨리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기체의 온도를 한없이 낮추면 부피가 점점 줄어든다는 것이 샤를의 법칙. 그렇다면 절대온도 0도에서 기체는 사라질 것인가. 그렇지 않다. 온도가 변해도 질량보존의 법칙은 적용된다.고체나 액체도 마찬가지지만 기체는 열을 받으면 그 부피가 늘어난다. 고체나 액체는 물질에 따라 늘어나는 정도 ... ...
쓰레기 재생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그동안 경제성장과 더불어 소비가 활성화되고 1회용 용기의 사용량 급증했다. 게다가 내구 소비재의 수명이 짧아져 쓰레기 발생량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전국 어디를 가나 넘치는 쓰레기로 눈살을 찌푸리게 되고 이러다간 좁은 땅덩이가 온통 쓰레기로 덮이지 않을까 걱정이 될 정도다.더욱이 인스 ... ...
오염측정의 새 방법 '바이오마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생물이 각종 오염물질에 얼마나 노출됐는지, 그리고 오염으로 인해 얼마나 영향을 받았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환경학자들은 최근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독성실험을 통해 파악할 수 없는 스트레스 수준의 오염영향을 알아낼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고 있는 것이다.미국 버지니아주에 있는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폐수정화유기물질·부유물질 90%이상 제거 가능하천이나 들판에 웬만큼의 유기물질을 내버려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정화되는 것은 대부분 환경미생물의 정화작용에 기인한 것이다.미생물(microorganism)은 환경을 좋게 하는 데도 나쁘게 하는 데도, 나아가서 환경을 인위적으로 정화시키는 데에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카오스란 보통사람들이 이해하듯이 완전히 무질서한 혼란상태가 아니라, 무질서해보이는 비예측성 속에서 일정한 규칙성을 가진 운동을 일컫는 말이다.물리학자 조셉 포드에 따르면 지금 넓은 영역에 걸쳐 과학의 혁명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큰 갈래 중 하나가 이른바 자연의 복잡성(complexity) 연 ... ...
2천㏄로 3천㏄ 성능 발휘하는 새 엔진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환경에 미치는 해악은 적으면서 높은 마력을 유지하는 엔진. 그 비밀은 압축과정과 과급장치의 혁신에 있다.환경보호를 좌우하는 요소의 하나로 자동차엔진 클린화가 있다. 배기가스 규제가 나날이 강화되고 있는 선진국일수록 자동차회사들은 어떻게 하면 환경에 미치는 해악은 적으면서 높은 마 ... ...
2000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금세기 중으로 5백m벽이 돌파되면 21세기 초에는 1천m, 5백층이 넘는 수직도시가 잇따라 세워질 것이다. 1950년경 프랑크 로이드 라이트가 1마일 높이의 건물을 제안한 이래 미국 시카고에는 현재 세계 최고 층의 시어즈타워(1백10층, 4백42m) 건물이 세워져 그 위용을 떨치고 있다. 최근 높이 5백90m 1백25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21세기초 기가비트를 절정으로 한계에 부딪칠 것으로 예상되는 실리콘반도체 기술을 극복하기 위해 양자소자 광소자 바이오소자 3차원집적 MMIC 등의 미래 반도체들이 연구되고 있다.기억소자의 발전은 1970년대 이후 반도체 기술을 선도해 과학기술용으로 한정되리라 예측됐던 컴퓨터를 대중화시켰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