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당원
계승자
소속
일대
d라이브러리
"
일원
"(으)로 총 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뒤지지 않는 항공우주 자존심 - 유럽우주국(ESA)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달라 색다른 맛의 항공우주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FAQ에 들어가 보면 유럽우주국의
일원
이 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알 수 있다. 또 우주비행사가 되기 위한 방법도 개괄적으로 소개돼 있다.최고과학자 1호 황우석 교수 후원회 www.wshwang.com 황우석 교수팀은 지난 8월 난공불락으로 여겨지던 개를 ... ...
기상천외한 생물들이 여기 다 있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생물 연구계의 이단아’라는 평가를 받은 저자는 “이들도 엄연한 지구 생태계의
일원
”이라며 오히려 “그들이 우리를 보고 이상한 생물이라고 하지 않을까”라고 반문한다. 일러스트레이터 데라니시 아키라의 그림은 간결하면서도 특징을 잘 잡아내 마치 사진을 보는 것처럼 생생하다. ... ...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사람들은 까치는 길조, 까마귀는 흉조라고 여기지만 사실 까치는 까마귀 패밀리의
일원
이다.연구실 까치팀의 이상임씨(박사과정)는 “지금까지는 주로 번식과 관련된 까치의 생태에 관한 연구를 해왔다”며 “조만간 까치의 지능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까치를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APCTP) 등 각 지역별 전시회도 주목할 만 하다. 센터는 2월부터 포항 및 경북
일원
에서 ‘상대성이론 그후 100년’이라는 주제로 대중강연회와 콘서트, 과학축전 등 일반인을 상대로 하는 다양한 아인슈타인 관련 행사를 기획하고 있다.아인슈타인 이론 대중화에 초점 각국이 운영하는 ‘물리의 해’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8 독일의 세균학자 R 코흐의 조수이자 그의 후계자로서 코흐를 따라 콜레라 연구위원회의
일원
으로 이집트 · 동인도에 갔고(1883), 후에 인도의 페스트 연구위원회 회장이 되었다(97)1778~1850 프랑스의 화학자 · 물리학자 23세 때 기체의 온도에 의한 체적팽창의 법칙을 발견하고 이른바 샤를의 법칙〈제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곳에서는 가장 오래된 화석인 스트로마톨라이트도 나온다. 뿐만 아니라 백령도
일원
은 중국에서 북한까지 연결된 지층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이미 8억년 전후의 고지자기가 밝혀진 중국과의 연관성이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당시 한반도 주변의 상황을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
04. 땅속 불구덩이가 화강암 절경 이뤄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맨틀에서 유래된 물질과 지각 하부의 물질이 혼합된 조성을 가지며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일원
에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트라이아스기의 지각변동은 그 다음 지질시대인 쥐라기까지 이어졌다. 쥐라기 화성활동은 당시 침강하던 해양판(이자나기 판)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기 보다는 지각 온도의 ... ...
세드나, 행성여부 뜨거운 논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들어가면 명왕성은 행성으로 살아남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70년 이상 행성의
일원
으로 사랑받았던 명왕성을 쫓아내기는 힘들거라는 의견이 다수다.관측기기의 발달로 최근 태양계 먼 곳의 천체들이 잇달아 발견되고 있다. 2000년엔 지름 9백km의 바루나(Varuna), 2001년엔 지름 1천65km의 ... ...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인간의 말을 가르치는 실험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아기 침팬지를 인간 가족의
일원
으로 키우면서 같은 나이의 연구자 자녀들과 함께 성장하게 했다. 하지만 이런 프로젝트는 허무하게 끝나고 만다. 침팬지들이 배운 인간의 말이란 잘해봐야 고작 대여섯 단어 정도였고, 그것도 발음이 상당히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속속 모여들었다. 서해안 일대의 물새를 관찰하기 위한 제23회 자연생태계 학습탐사팀
일원
들이었다. 오전 9시 25분, 탐사팀을 태운 버스는 강화도를 향해 출발했다.탐사팀을 이끈 한국교원대 생물교육과 김수일 교수는 차창 밖으로 보이는 새들을 가리키며 설명을 하기 시작했다. 팀원들은 서로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