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후모순
자가당착
d라이브러리
"
자기모순
"(으)로 총 1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은 왜 남녀로 구분될까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수컷을 많이 낳을 수 있는 양친은 더 많은 손자녀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자기모순
적인 측면이 없지 않다. 왜냐하면 수컷이 많아질수록 그만큼 교미할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리는 암컷의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결국 성비는 50:50을 향해 수렴된다.피셔의 성비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최근 교육부는 'IQ가 1백40이상인 학생에게 월반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IQ만이 지능이 아니라는 주장이 여러 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다양한 직업만큼이나 인간의 능력은 무한한다. 이제 IQ신드롬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으로 자신을 돌아보자.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속은 모른다'라는 ... ...
PART Ⅰ. 훈련은 필수, 나이는 무관 당신도 초능력자가 될수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초능력을 하기로 마음먹었다면 정신무장을 단단히 해야 한다. 초능력은 건강을 위한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평소 마음이 산만해 보여 몇가지 정신집중훈련을 시켰더니 손가락으로 글을 읽게 됐습니다.” 작년 대전에서 열린 한국정신과학학회에서 눈을 가린 채 두 손가락만을 대고 책 ... ...
1 우주팽창속도·거리 계산, 80억년 추정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94년 10월 카네기천문대의 여성천문학자 프리드만은 허블망원경을 이용, M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우주의 나이가 80억년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이 관측결과는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우주에 대하여 수없이 많은 궁금증을 가지게 된다. 그 중의 ... ...
1 시간은 비대칭, 미래로만 일방통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과거로의 시간여행이 불가능하다는 것, 즉 시간의 대칭성이 깨어짐은 우주가 무한하지 않고 광속보다 빠르게 여행할 수 없다는 특수상대론의 결론에 따른 것이다.우리는 특이한 우주에 살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시간이 항상 과거에서 미래로 흐르는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더 특이한 점은 ... ...
선·평면·입체 외 또다른 차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정사각형의 넓이가 하나의 곡선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선분은 폭이 없는 것'이므로 그것이 아무리 모아져도 넓이를 갖는 평면은 만들 수 없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나 1890년 이탈리아의 페아노는 '점의 궤적'으로 평면을 그릴 수 있음을 증명했다.19세기 말 칸토 ... ...
수학은 모순을 먹고 자란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1930년 괴델은 최선의 시나리오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인류는 수학의 신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집합론의 모순에서 출발한 수학은 새로운 국면에 당도한 것이다.'혁명은 피를 먹고 자란다'는 섬뜩한 말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로맨틱한 것을 찾는다면 '시인은 꿈을 먹고 산다'는 말이 있다. 이 ... ...
수학난제 '페르마 정리'의 증명 과연 성공했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이제 진정 '페르마의 정리'가 증명된 것일까. 지난 93년 와일츠 교수의 발표 이후 온갖 화제로 들끓었던 수학계의 흥분은 아마도 코언의 새로운 논문 발표로 일단 막을 내린 것 같이 보인다.지난해 10월28일자동아일보에 '수학계 3백년 난제 풀릴 듯'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지난 93년 6월23일 미 ... ...
물리 - 극지방, 왜 적도보다 몸무게 더 나가나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똑같은 지구라도 적도지방보다는 극지방에서 몸무게가 더나간다. 그 이유를 알아보고 공기마찰력을 고려한 낙하운동의 실제 모습을 살펴보자.우리는 목욕탕에서 몸무게를 잰다. 몸무게가 60kg이라고 하는 것은 정확하게 60kg중이라고 해야 한다. 질량 60kg을 지구가 당기는 힘을 60kg중이라고 한다. 따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고대인들은 빛을 어떻게 인식했는가. 이들의 빛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갈릴레이와 뉴턴의 연구가 덧붙여졌고 20세기 초반 상대성이론과 양자 역학이 성립함으로써 빛의 본질이 드러났다.B.C. 6세기에서 4세기에 이르는 기간은 인류 역사상 사상적 변화가 가장 컸던 시기라고 말해진다. 불행하게도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