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차"(으)로 총 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쓰쿠바과학동아 l1990년 10호
- 무려 2천만인구의 가슴속에는 쓰쿠바 과학도시의 신선한 인상이 남아 있을 것이다. 이는 장차 쓰쿠바 신도시가 세계적인 과학기술 및 학술기능의 중심지로 발돋움하는데 공헌할 수도 있을 것이다.세계의 기술도시들RTP·루트128·노보시비르스크·루베인·TPA·신주실리콘밸리의 성공 이후 세계 각국은 ... ...
- PARTⅡ 태양계탐사의 선두주자과학동아 l1990년 07호
- 이어가는 일의 하나인데, 현재까지 4개의 모듈을 십자(十字)로 부착시켰다. 이것이 장차 달개발을 위한 소련의 전초기지가 될 것이다.소련은 태양계탐사에 계속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지난해 9월2일~24일 미국의 제트추진연구소에서 열렸던 '제2회 태양계 탐사국제회의'에 소련대표로 참석한 ... ...
- 「기술대국」 일본을 추월하려면 컴퓨터문맹 퇴치가 시발점과학동아 l1990년 07호
- 투입될 예정이다. 이 컴퓨터는 전전자교환기(TDX-19), 통신소프트웨어 기술과 짝을 이루어 장차 한국의 주요 수출대상품목으로 떠오를 우리의 꿈나무이다.그간 국내의 기술개발정책은 정보산업육성이라는 명분과 달리 오로지 컴퓨터하드웨어 생산만을 강조하면서, 정보산업의 실질적인 주역인 ... ...
- PART Ⅰ 인공지능연구,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1990년 06호
- 아닌 다른 전공(예를 들면 화학전공)을 한 사람이 와서 발표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장차 인공지능의 응용분야가 넓어질 뿐만아니라, 깜짝 놀랄 만한 연구들도 실현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이 7년동안 1억2천만달러를 투입해 현재 진행중인 자동통역을 해주는 전화시스템의 개발, 우리나라에서도 ... ...
- 신은 주사위놀이를 좋아한다과학동아 l1990년 06호
- 부품 중 하나인 전자석(電磁石)은 초전도코일을 사용해 만들고 있다. 그리고 장차 자기부상열차 같은 초고속 열차가 좀 더 효율적으로 값싸게 달리게 하려면 초전도자석을 써야할 것이다. 또 초전도 현상을 송전에 이용하면 열의 손실없는 송전이 가능해진다. 이는 획기적인 산업혁신을 가져올 ... ...
- PART Ⅲ 전문가시스템의 성공사례과학동아 l1990년 06호
- 시스템이다.CSA는 고객이 전화로 문의하면 메뉴방식에 의해 조언을 해주고 있다. 장차 고객이 직접 문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도 고려하고 있다. 경험 있는 고객 지원 엔지니어로 부터 얻은 지식과 정보는 지식구역이라 불리는 절차적 모듈에 잘 저장되어 활용되고 있다.□Scheplan/컴퓨터와 인간이 ... ...
- 자성유체과학동아 l1990년 05호
- 점을 이용하면 광셔터(shutter) 나 광모듈레이터(modulator)를 만들 수 있다. 이것은 장차 광통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소자로 쓰일 전망이다.한편 강자성유체와 불용성 비(非)자성유체를 편광필터 사이에 얇게 끼우고 자기장을 가하면 버블이 생성된다. 이때 만들어진 버블은 액정소자와 같은 효과를 ... ...
- 유리인가, 슬래그인가?과학동아 l1990년 05호
- 로만 글래스(Roman glass)계통의 유리용기는 수입품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는 결론은 장차 또 다른 논란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유리용기가 모두 수입품인가, 일부만 수입품인가 하는 문제는 계속 검토돼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 ...
- 이공계 엘리트들 어디로 진출하나?과학동아 l1990년 03호
- 학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학생들 입장에서 보면 부담없이 아르바이트를 하며 장차 취업할 직장의 분위기도 익힌다는 장점이 있고 기업측에서는 그 학생의 자질과 성향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매력이 있다는 것.기업들이 서울대나 과학기술원 대학원생들을 끌어오기 위해 특정 ... ...
- PART4 우주개발의 메카 NASA, 그 영광의 궤적과학동아 l1990년 03호
- 건설될 전망이다. 이 사업은 그저 사람들에게 흥미거리를 제공하는 일이 아니라, 장차 우리가 당면할 인구증가 및 자원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그 다음의 계획은 우주도시(Space Colony) 건설이다. 이 착상은 1970년대에 당시 프린스톤(Princeton) 대학의 물리학교수였던 오닐(Oneil)박사가 처음으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