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
알콜
알코올
본줄기
원줄기
본류
알코올 음료
d라이브러리
"
주류
"(으)로 총 422건 검색되었습니다.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문제에서 해방되는 듯 보였다. 이 논문은 ‘비만은 의지의 문제’라는 심리학적 접근이
주류
였던 그 이전까지의 시각을 완전히 바꾸며 ‘비만의 생리학’ 시대를 열었다. 그럼에도 논문이 발표된 지 16년이 지난 지금, 비만은 오히려 더 심각한 사회문제가 돼 있다. 비만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꿨지만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인식이 강해 거의 모든 경우 백설탕을 쓴다.반면 사탕수수의 나라 피지는 갈색설탕이
주류
다. 기자가 수바에서 묵은 호텔의 경우 아침에 시리얼과 함께 나오는 설탕 단지 안에도 갈색설탕이 들어 있고 봉지설탕도 갈색설탕이다. 순수한 단맛의 백설탕을 좋아할지, 맛의 뉘앙스가 풍부한 갈색설탕을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억제제 개발, 신경영양인자를 공급하는 방법, 유전자 치료와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가
주류
를 이루고 있다. 최근의 유전자 치료법 연구는 기존의 신경영양인자 같은 치료제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전자를 이용하던 단계에서 나아가 변이 SOD1 유전자의 발현을 RNA 수준에서 차단하는 방식으로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최근 기후변화는 자연적 주기에 따른 거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주류
가 옳은지, 비
주류
가 옳은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시간이 흘러 역사가 증명해줄 수 있을 뿐이다. 어느 쪽의 옳고 그름을 가리기 위해서라기보다 지구온난화의 실체를 놓고 벌이는 양쪽 과학계의 논쟁을 들여다보는 재미를 ... ...
몸속에 화학물질 쌓이면 당뇨병 위험 증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장기복용이 오히려 몸에 안 좋을 수 있다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해
주류
의학계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우리는 자꾸 인체에 무엇인가를 더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이제는 불필요하게 체내로 들어와 축적된 것들을 비움으로써 몸의 건강을 찾는 방법도 함께 ... ...
효시(嚆矢)와 제논의 역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때 생기는데 먼저 화살과 관련이 있는 것을 알아보자. 제논이 활동할 당시 학문의
주류
는 피타고라스학파가 이끌고 있었다. 피타고라스학파는 “시간은 크기가 없는 시각의 무한한 모임”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주장에 대해 제논은 “시간이 크기가 없는 시각의 무한한 모임이라면 날아가는 화살은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Beyond the Majority)라는 주제로 일반물리 강의를 시작했다. 착시 현상을 그림으로 보여주며
주류
를 넘어서려면 비판적 사고가 핵심 도구라는 사실을 들려줬다.그는 과학을 좋아하는 한국 청소년에게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전했다. “기술이 토대가 된 현대 사회에서 잘 살고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성공한 사람에 대한 얘기다. 그러나 가끔은 독창적인 연구결과를 내놓았지만 과학계
주류
의 인정을 받지 못한 과학자 이야기를 다룬 책도 있다. 스위스 저널리스트 뤽 뷔르긴이 쓴 ‘태고의 유전자’는 후자에 해당하는 책이다. 이 책의 주인공은 스위스의 거대 제약회사 치바가이기(1996년 산도츠와 ... ...
동시 발견과 우선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독립적으로 연구했다. 영국의 저명한 과학사회학자 머튼 경은 ‘동시 발견이 오히려
주류
’라는 주장을 한 바 있다. 예시답안 ①옛날 이야기 중에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 한 형제가 길을 가고 있었는데, 도중에 형이 길가에 떨어진 금덩어리를 발견했다. 형은 이를 아우에게 알렸고, 아우는 ... ...
후광 효과를 뛰어넘은 과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한 과학계의 발전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④항상 패러다임을 깨는 과학적 발전은 비
주류
에서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과학계에서의 이런 풍토로 나와 같은 피해를 입는 사람이 더 이상 없기를 바란다.- 김태훈(서울 마포고 3학년) 멘델은 훌륭한 과학자이지만 그에 비해 자신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