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속
급속
순간
잠깐
d라이브러리
"
즉각
"(으)로 총 38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멋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하이트 교수는 “도덕적 판단은 자동적이라고 할 만큼
즉각
적으로 일어난다”며 “의식적 추론은 사실 자신의 판단에 대해 그럴듯한 이유를 찾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설문에 참가한 사람들에게 왜 그런 답을 했냐고 물으면 다수는 “그냥 그게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인슐린 주사 덕분에 정상에 가까운 삶을 살아가고 있다.사실 렙틴 발견이 의심없이
즉각
적인 호응을 얻은 건 호르몬이 식욕을 조절할 것이라는정황증거가 이미 있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쥐 두 마리를 외과수술로 혈관이 연결되게만든 뒤(이를 병체결합이라고 부른다) 한 마리에게 무제한 먹이를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된 표지(watermark)를 넣어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박테리아가 유출됐는지 여부를
즉각
확인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런 걱정을 할 단계는 아니다. 이번 결과에서 박테리아 세포는 아무 게놈이나 받아들이지 않았고 게놈에 조금만 오류가 있어도(염기 100만 개 중에서 단 하나만 틀려도)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심혈관계 장애 등이 나타난다.대중의 열정과 전문가의 냉정 사이셀리에 교수의 논문은
즉각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부정적인 현상들을 ‘스트레스’란 이름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전문가들은 그의 가설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SNS) ‘트위터’는 세계 2억 명이 가입해 있을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SNS는
즉각
적인 생각을 아주 짧은 문장에 담아낼 수 있어 가장 직접적으로 뇌와 뇌끼리 소통하는 인터넷 뉴미디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2008년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던 평범한 학생 애덤 윌슨은 이 점에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실험결과는 거의 없다. 페로몬은 같은 종에만 작용하는 분자이기 때문에 돼지에서는
즉각
적인 성적 행동을 유발하는 강력한 페로몬일지라도 사람에서는 별다른 작용을 하지 않을 수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사람은 안드로스테논의 냄새를 맡을 수 있는데, 개인에 따라 그 냄새를 역겨운 기름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30~40년 된 건물은 속수무책. 소방방재청이 2월 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진이 났을 때
즉각
피해복구에 나서야 할 전국 251개 지역 재난안전대책본부 중 184곳에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지진이 강타할 경우 혼란을 막아야 할 재난안전대책본부 5곳 중 4곳이 제 기능을 ... ...
CSI 수사체험 ‘피의 흔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떨어뜨린다. 약 5초 뒤 3% 과산화수소(H2O2)를 추가로 두 방울 떨어뜨리면, 혈흔인 경우
즉각
적으로 분홍색으로 나타난다. 일부 예리한 관찰력을 가진 학생들은 빨간색의 피가 몇 방울의 액체에 의해 희석됐으니 당연히 색이 흐려져 분홍색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비교할 수 있는 대조군이 필요하다고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수 있는 가장 원시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원시적이라는 것은 쉽게 말해 좀 더 가깝고,
즉각
적이며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그래서 우리는 부끄러운 상황에서 ‘도망치고 싶다’라는 생각이 먼저 들지, ‘생각할 시간이 필요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공간이 시간보다 인간에게 더 ... ...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준으로 원하는 시간만큼 지속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먹는 약이나 주사약은 효과가
즉각
적으로 나타나지만 약효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주기적으로 약을 먹거나 주사를 맞아야 한다. 그런데 파스는 몸에 붙여두기만 하면 일정 시간 동안 약물이 서서히 방출되면서 혈중 약물 농도가 유지된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