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첩경
경로
사잇길
d라이브러리
"
지름길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와 에이즈 극복의
지름길
침팬지게놈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다양한 생물의 게놈정보를 이용해 인간의 질환 원인유전자를 발견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해 신약이나 치료제를 개발했다. 이 중 최근에 주목받는 동물은 침팬지다. 침팬지게놈은 인간과 거의 동일하며, 그 다양성은 동양인과 서양인의 차이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미생물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고 응용하는 일은 우리 생활을 좀더 윤택하게 하는
지름길
이다.1%만 실험실에서 키울 수 있어1683년 네덜란드의 박물학자 레벤후크가 처음으로 현미경을 이용해 세균의 모습을 눈으로 관찰하고, 1875년에 독일의 미생물학자인 슈레터가 미생물의 순수배양에 성공한 ... ...
레고처럼 조립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업체가 얼마나 좋은 개발 절차를 따르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CMM 등급 5는 곧 수출의
지름길
인 것이다. CMM 등급 5의 40%가 인도업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업체에도 CMM을 도입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SPI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연구실 졸업생이 3년 전 소프트웨어 ... ...
2. 대선 공약 주요 항목으로 떠오른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16대 대통령 선거가 눈 앞에 다가왔다. 각 후보들은 저마다의 과학기술 공약을 내걸고 표를 호소하고 있다. ‘혹시 이번에도 그저그렇게 뻔해’라고 생각할 ... 과학적 마인드를 갖추는 것만이 국가지도자와 국가의 경쟁력을 동시에 높여주는
지름길
임을 후보들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가 발사한 행성 탐사기 보이저 2호는 1977년 8월 20일에, 1호는 9월 5일에 발사되었다1호는
지름길
을 취하여 동년 7월에 목성에 접근했는데, 목성의 클로즈업 사진과 자기장이나 입자의 정보를 보내 왔다또 목성의 줄무늬라든가 갈릴레이 위성의 하나하나를 찍은 사진도 보내왔다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 ...
2. 영재고 진학의
지름길
과학영재교육원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학교에 합격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이제 과학영재교육원은 과학영재학교 진학에
지름길
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그렇다면 과학영재교육원은 어떤 기관일까. 그리고 이곳에서는 어떤 과학영재교육을실시하고 있을까.과학영재교육원은 사실 얼마 전에 생겨난 명칭이다. 이는 과학영재교육원이 ... ...
세계사를 바꾼 날씨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일이야말로 무형의 자원을 축적하고 국가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지름길
이 아닐 수 없다.이처럼 국가적 차원에서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기상정보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정리한 책이‘정보화 사회의 기상서비스’다.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기상 정보의 제공과 ... ...
배우자로는 날 닮은 사람이 최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종합해보건대, 상대의 모든 면을 닮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상대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지름길
일 것이다.현실적인 답을 원한다면 상대가 나를 매력 있는 배우자로 생각하게 만들기 위한 전제조건이 하나 있기는 하다. 바로 먼저 눈을 마주치라는 것이다.영국 런던대학 인식신경과학연구소의 커누트 ... ...
1. 인간 이해
지름길
, 침팬지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인간의 유전정보를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다른 생물의 게놈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연구 대상은‘침팬지’의 게놈이다. 침팬지의 게놈 속에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는지 살펴보자. 인간게놈프로젝트의 목표는 인간의 ... ...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따라서 단백질의 3차구조를 밝히는 일은 생물체의 주요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
이다. 즉 단백질의 구조가 밝혀지면 그 구조로부터 단백질이 하는 일을 알 수 있거나 적어도 추측이 가능하고, 나아가 병의 원인이 되는 질환단백질 구조에 적합한 신약을 개발할 수 있다. 많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