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짝"(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난 이름 정리]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9호
- 그림에서 하늘색 부분에 속한 조각과 주황색 부분에 속한 조각을 같은 숫자끼리 직접 짝을 맞춰 보세요.이처럼 2명이 8조각을 4개씩 나눠 먹는 경우, 문제는 쉽게 해결됩니다. 이후 피자 정리에 관심이 있는 다른 수학자들이 더 정교하게 증명해냈습니다. 2012년에는 마침내 수학자 그렉 ... ...
- Part 4. 블랙홀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중력에 이끌려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더라도, 사건의 지평선 밖에 있던 다른 한 입자는 짝을 잃은 채 블랙홀 밖으로 도망칠 수 있다고 생각한 거예요. 우여곡절 끝에 블랙홀을 탈출한 입자를 가리켜 ‘호킹 복사’라고 불러요. 호킹 복사는 블랙홀이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일부 내보낼 ... ...
- [별난이름정리] 다윗의 별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다윗의 별 정리라는 이름을 붙였지요.물론 수학적인 의미도 있습니다. 삼각형으로 짝지어진 두 숫자 쌍의 최대공약수(gcd)가 같습니다. 다윗의 별 정리는 어떤 숫자를 선택해도 늘 성립합니다. 파스칼의 삼각형을 보며 이 정리가 사실인지 직접 확인해 보세요~. * 편집자 주이름만 보고서는 정체를 알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18.5MeV으로 37배가량 커진다. 이들 가속관은 초전도상태에서 동작하기 위해 2~4개씩 짝을 이뤄 54개의 저온유지용기(모듈) 안에 담긴다. 전단부에 위치한 22개의 모듈은 영하 269도(4K·절대온도 4도), 후단부에 위치한 32개의 모듈은 영하 271도(2K)로 유지된다. 장현만 장치기반기술팀장은 “모듈은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어디에서 얼마나 발현되는지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아래 그림). 보이지 않는 RNA를 반짝반짝 빛나게 하는 노력이 대단하지 않나요. 최영은_yc7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과학의 즐거움을 ... ...
- Part 1. 찰떡궁합 음식 찾는 푸드페어링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향미가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든 요리입니다. 계산 결과 공통된 맛 조합을 가진 재료끼리 짝짓는 경향은 북아메리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동아시아는 요리에 대조적이고 화학적으로 다양한 재료 많이 사용했습니다. 푸드페어링 가설은 북아메리카 요리에서 딱 들어맞았던 것이지요 ...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다양한 분들이 사연을 주셨습니다. 어떤 사연인지 한번 들여다 볼까요? Q #제 짝은 #어디에 #있는 거죠 안녕하세요. 저는 남들이 말하는 ‘결혼 적령기’인 서른 살 여성 직장인입니다. 친구, 선배들이 하나 둘 결혼을 하기 시작하니 저희 부모님이 결혼을 보채기 시작했습니다. 저도 결혼할 생각이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내 자리는 어디에!? 15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과학자인 아드리안 부륀거, 암브로스 마제타, 코메이 후쿠다, 유어그 니버젤트가 배열이 짝순열이기만 하면 어떤 배열이든 80번 안에 표준 배열을 만들 수 있다고 증명하면서 최솟값과 최댓값을 대략 계산할 수 있게 됐어요. 앞으로 연구가 거듭되면 구체적으로 몇 번을 움직여야 하는지, 또 어떻게 ...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설명할 수 있다. 초끈이론은 모든 입자들이 짝이 있다는 초대칭성을 전제로 하는데, 짝입자 중 하나가 암흑물질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다만 초끈이론은 검증이 아주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방정식의 해가 10500개!초끈이론에서 나오는 방정식의 해는 대략 10500개다. 유한하지만, 사실상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유사분열의 또 다른 차이점은 감수분열에서는 염색체가 분리되기 전에 자신의 짝을 찾는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아빠에게서 받은 염색체와 엄마에게서 받은 염색체 사이에 유전물질 교환이 이뤄집니다. 염색체 수 확인하는 셀프 시스템그런데 흥미롭게도 정모세포와 난모세포가 각각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