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조"(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맥주를 붓고, 막걸리에서 얻은 발효종을 넣었다(발효종을 만드는 자세한 과정은 3파트 참조). 고루 섞은 반죽을 둥글게 굴린 다음, 제빵실 테이블에 아무렇게나 두었다. 상온에서 알아서 부풀어 오르도록 하기 위해서였다.세 번째 미션. 건조하게 구워라하지만 잔뜩 부풀어 오른 것은 빵 반죽이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혈액 생검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하다”고 설명했다(아래 그림 참조). 유용한 임상 사례 확보가 관건혈액 생검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사례를 많이 확보해야 한다. 최소한 수 년이 걸리는 일이다. 혈액 생검으로 돌연변이 DNA가 검출된 사람에게 실제로 암이 발병하는지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지금까지 밝혀진 효모만 600가지가 넘지만, 빵을 만들 수 있는 건 몇 개 없다(98쪽 참조). 또 제빵이 가능하다고 해도 제빵능력은 각각 다르다. 빵을 만드는 데 적합한 효모는 반죽에 섞여 있는 상태에서 발효를 잘 시켜야 하고, 발효 과정 동안 향긋한 성분과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내야 하며, ... ...
- Part 4. 해상도시 바다 위에 도시가 둥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제 육지를 벗어나 바다로 가 볼까요~? 다음으로 소개할 미래 도시는 해상 도시랍니다. 넘실넘실 밀려오는 큰 파도 위에서 건물을 짓고 살 일이 걱정된다고요? 이곳이라면 몇 십 년을 살아도 끄떡없을 거예요!태평양 한가운데 도시가 떠오른다!지난 1월 푸른 바다 위에 둥둥 떠 있는 해상 도시 상상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여기에 나이를 제한하는 검문소를 중간에 넣으면, 통과할 수 있는 사람이 생길까(위 그림 참조).김 교수는 “중간에 새로운 걸 넣어봤자 남자 또는 여자만 통과시키는 양 끝의 검문소를 모두 통과해 길 끝에 갈 수 있는 사람은 없다”면서 “하지만 양자역학적인 관점에서 빛의 입자가 지나간다고 ... ...
- 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안녕! 나는 우주 도시 B-9 구역에 사는 신미래야. 지난달에 해상 도시에서 이곳 우주도시로 이사를 했지. 우주 셔틀을 타고 지구를 떠났는데, 이곳에 또 하나의 지구가 있더라고! 한 달밖에 안 됐지만 이곳은 정말 색달라. 아직 이곳에 못 와본 너희를 위해 내가 살아 본 도시들을 소개할까 해. 2017년을 ...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지하 도시는 가장 가까운 미래 도시라고 할 수 있어요. 이미 세계 곳곳에서는 지하를 개발해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거든요. 역사 곳곳, 세계 곳곳 지하 도시사실 지하 도시는 아주 오래 전부터 있던 도시 형태예요. 세계의 지하 도시 유적은 현재까지 확인된 것만 40여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타임머신을 타고 도시를 돌아다니면 시대마다 그 모습이 모두 다를 거예요. 도시의 모습은 계속해서 변해왔기 때문이죠. 무엇이, 그리고 어떻게 도시를 바꾸는 걸까요?8000년 동안 변하고 또 변한 ‘도시’도시는 정치와 경제, 교통, 그리고 문화 등이 발달한 곳이에요. 5000년 전 오늘날의 이라크 지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지구를 벗어나 우주에는 도시를 만들 수 없을까요? 산소도, 중력도 없는 우주에선 오롯이 사람이 모든 걸 만들어야 한답니다. 또 하나의 지구를 거대한 우주선 안에 담는 방법! ‘우주 정착선’을 만나 보아요~!★특명 1 위치를 고정하라!1969년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제라드 오닐 박사는 새로운 아이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유전자 수평전달이라고 한다(2016년 8월호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 참조). 세균의 유전자 계보는 마치 그물처럼 복잡하게 그려진다.그렇다면 세균 한 종을 대대로 배양해서 게놈 분석을 하면 되지 않을까. 좋은 생각이지만 우리가 배양할 수 있는 세균의 종류가 지구 전체 세균의 10%도 채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