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뼈
등골
척추골
등골뼈
척수골
척수
등심대
d라이브러리
"
척추
"(으)로 총 796건 검색되었습니다.
[GO!GO!고고학자]난파선은 어떤 비밀을 품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실제로 ‘우삼별초 도령에게 상어를 상자에 담아 보낸다’고 적힌 목간과 함께, 곱상어
척추
뼈가 가득 들어있는 대나무 상자가 발견되었답니다. 말하자면 목간은 나무로 된 택배 송장인 셈이죠! 마도선에서 발견된 물건들이 휘황찬란한 금은보화는 아니에요. 하지만 이 세 척의 배는 팔백 년 동안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영화에서처럼 어깨에 올려놓고 다니기에는 다소 무거운 체구다. 수년 내로 주인공들에게
척추
변형이나 어깨 관절염이 찾아오지 않을까. 하지만 키와 몸무게만으로 피카츄를 뚱뚱하다고 속단하긴 어렵다. 애초에 포켓몬의 몸집을 사람의 몸집과 똑같이 비교하는 것은 공평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 ...
[언니오빠 논문 연구소] 치타가 던진 숙제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게놈 10K’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10K’라는 이름처럼
척추
동물 1만 종의 유전자를 분석해 유전자의 흐름과 진화적 다양성을 규명하고 생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게 목적입니다. 어떤 유전자 지도가 나왔을까? 국내에서도 생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위해 관련법을 ... ...
원시 고래는 네 발로 헤엄쳤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아메리카 대륙까지 확산된 과정이 일부 확인된 셈이다.벨기에왕립자연사박물관의
척추
고생물학자인 올리비에 램버트 박사는 “페레고세투스 파시피쿠스와 현생 고래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원시 고래 화석들을 찾아 분석하면 고래가 전 세계 바다로 퍼질 수 있었던 경로를 확인할 수 있을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때보다도 필요한 이유다. 이성진수각류 공룡을 연구하는 고생물학자다. 서울대에서
척추
고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몽골과 미국 등에서 화석 발굴에 ... ...
'캡틴마블' 옥에 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4분의 1 수준이기 때문이다. 작은 동물이라면 몰라도 사람처럼 활동량이 많고 몸집이 큰
척추
동물의 대사량을 감당할 산소운반체로 헤모시아닌은 적합하지 않다. 특히 적들과 계속 싸워야 하는 캡틴 마블이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다만 투구게의 혈액에는 사람의 혈액에 없는 특수한 능력이 한 가지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지금으로부터 약 20년 전인 1998년 처음 등장한 배아줄기세포는 치료의 혁명을 가져다줄 것으로 주목받았다. 배아줄기세포는 난자와 정자가 결합해 만들어진 수정란이 세포 분열을 통해 여러 개의 세포로 이뤄진 배반포가 되고 나서 심장, 뼈, 신경 등의 부위로 발달하기 위해 그 안에서 생성되는 줄 ... ...
'오로봇'의 부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걷는
척추
동물은 지구상에 언제 처음 나타난 걸까. 그중 일부는 어떻게 서서히 몸을 일으키고 두 발로 뛸 수 있게 됐을까. 화석에만 의존했던 진화 연구에 로봇 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화석을 토대로 고생물 로봇을 설계하고 제작한 뒤 로봇을 통해 고생물의 행동을 유추하는 ‘역공학(Reverse-engineering ... ...
Part 3. 편견 - 고인류는 야만인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연구를 발표했어요. 네안데르탈인의 신체 중 연구팀이 주목한 부위는 상반신의 흉곽과
척추
뼈예요. 연구팀은 흉곽이 잘 보존된 ‘케바라2’라는 6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 남성 골격을 단층 촬영했어요. 그리고 컴퓨터로 네안데르탈인과 현대 인류의 골격을 비교했죠.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은 현대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척수 임플란트 제작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UC샌디에이고)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3D 프린터로 제작한 척수 치료용 인공 임플란트를
척추
부위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학’ 1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임플란트는 척수 구조를 모방한 형태로 지름 2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의 관 수십 개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