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토성"(으)로 총 51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확률은 많지 않습니다.그럼 포에베 버그가 균이라고 해봅시다. 포에베는 1898년에 발견된 토성의 위성으로 표면 온도는 영하 198°C 입니다. 표면은 얼음과 고체 이산화탄소(드라이아이스) 등의 휘발성 물질로 이뤄져 있죠. 포에베 버그는 이 행성에서 퍼지기 시작한 생명체입니다. 과연 이런 극한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비해 크기는 3~4배, 질량은 10배쯤 될 거라고 추측했다. 사실이라면 태양계에서 목성과 토성, 천왕성, 해왕성에 이어 다섯 번째로 큰 셈이다.또한 연구팀은 공간에서 입자가 운동하는 상태와 위치를 알아내는 해밀토니안 역학을 응용해 플래닛 나인이 어떤 궤도로 태양을 공전하는지 계산했다. 즉,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조건지금까지 태양계의 행성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은 수성과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그리고 해왕성뿐이다. 이들은 모두 항성인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 행성만 태양을 공전하는 건 아니다. 이보다 크기가 작은 소행성과 왜행성, 행성 주변을 도는 위성 등이 있다.그렇다면 수많은 천체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좋은 조상들은 이를 놓치지 않았다. 그리고 이름을 붙여줬다.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라고.인류가 태양계 행성을 찾았던 첫 번째 방법은 ‘맨눈으로 밤하늘 관찰하기’였다. 여타반짝이는 불빛들과 달리 움직이는 다섯 행성을 이미 그리스 시대 이전에 찾았다. 일곱 번째 행성인 천왕성부터는 ... ...
- [News & Issue]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얼음 화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얼음화산은 분화 시 물과 메탄, 암모니아 등을 액체 상태로 분출하는 화산으로, 2005년 토성의 위성인 엔셀라두스에서 발견된 바 있다. NASA는 홈페이지를 통해 “라이트몬스가 얼음화산으로 확인된다면, 지금까지 태양계에서 발견된 얼음화산 중 가장 거대하다”고 밝혔다 ... ...
- [News & Issue]화성, 고리 없다(X) 생길 거다(O)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주위를 돌며 고리를 형성해 1억 년 가까이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미탈 연구원은 “토성, 목성 같은 외행성의 고리는 얼음으로 구성돼 지구에서 비교적 잘 보이지만 화성의 고리는 암석 파편으로 이뤄져 지구에선 관측하기 힘들 것”이라며 “고리의 그림자 정도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바꿈.2007~2014년 동면 상태로 비행에너지 절약을 위해 모든 기계 전력을 끈 상태로 2008년 토성, 2011년 천왕성, 2014년 해왕성 통과. 2014년 12월 동면에서 깨어남.2015년 7월 14일 명왕성 최근접점 통과명왕성에서 1만 2500km 떨어진 곳까지 다가감.뉴호라이즌호는 왜 명왕성으로 갔을까?2006년 1월 19일, 태양계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을 완성했다.칠정산은 해와 달,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 일곱 개 천체의 움직임을 계산해 일식과 월식, 날짜와 계절의 변화를 계산할 수 있게 한 역법서다. 김담은 이순지와 함께 1444년 간행된 칠정산외편을 집필했다. 칠정산내편은 중국 역법을 조선에 맞게 ...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웅진성이라고 불렀어요. 공산성의 금서루에 올라 오른쪽 성벽을 따라 걸으면 석성과 토성을 모두 살펴볼 수 있고, 진남루, 동문루, 만하루, 공북루 등을 마주하며 백제시대의 건축과 조선시대 문루건축을 두루 감상할 수 있답니다. 그중 만하루 옆에 있는 연못은 특별한 모양으로 사람들의 눈길을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보이저 1, 2호보이저 1호는 1977년 9월 발사됐으며, 1979년 3월 목성을, 그리고 1980년 11월 토성을 접근 통과하면서 자료와 사진을 전송했다. 보이저 1호는 현재 인간이 만든 탐사선 중에서 지구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2004년 태양권덮개(94AU 지점,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에 도달했으며, 2006년 8월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