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포스터"(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이그노벨상 시상식이 열렸다. 오귀스트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이 벌렁 누워 있는 포스터대로, 올해의 수상작들도 엽기적이면서 진지하다. 이그노벨상을 받는 연구 결과는 대개 발칙하고 재밌다. 쓸모없어 보이면서도 획기적인 발명품을 내놓기도 한다. ‘저런 실험을 도대체 누가 왜 하는 ... ...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체험단도 동참했다.][➍ 연구센터는 생명다양성과 맹그로브 숲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포스터를 만들어 배포했다.]연구센터는 전통의학지식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면서 인류에게 이로운 새로운 물질을 찾는 좋은 길잡이라고 본 것이다. 이곳 사람들이 배 아플 때 먹었던 ... ...
- 제대로 알고 먹자, 영양표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영양표시를 볼 수 있어. 햄버거나 피자를 파는 패스트푸드점은 매장 안에 포스터 형식으로, 패밀리레스토랑은 메뉴판에 영양표시를 해 놓았거든. 제과점에서 빵을 사거나 편의점에서 삼각김밥이나 샌드위치, 햄버거를 살 때도 영양표시를 확인할 수 있단다.꼭 알아두기❷새로운 영양표시, 신호등 ... ...
- 미래도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기발한 아이디어로 우리 심사위원들을 놀라게 해 보라고!탄소 제로에 도전한다노먼 포스터마스다르 설계자도시는 현재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셨지요? 지금 지구에서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일까요? 지구온난화입니다. 모두 알다시피 이산화탄소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절반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1년 07호
- 4608×3456의 경우, 최대 23인치(584mm)×17.3인치(439mm)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 크기는 영화 포스터에 많이 쓰이는 A2 용지(594mm×420mm)와 비슷하다. 카메라의 경쟁상대는 눈! 시원한 바다가 그리워 지난해 동남아 해변에서 찍은 사진을 열어봤다.눈을 감으면 드넓은 모래사장과 손에 닿을 듯 펼쳐진 섬 ... ...
- 눈으로 배우는 화학!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그 대목에서 웃지 않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렇게 만든 주기율표로 그레이 박사는 포스터와 탁자를 만들었고, 집요함의 대가로 이그노벨상을 받았다.국내에 번역된 그의 또다른 책 ‘괴짜 과학’은 그의 취미생활의 격렬함(?)을 더 잘 보여 주는 책이다. 강철솜을 태우고 비눗방울을 폭발시키는 등 ...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영국 맨체스터대 로버트 루카스 교수팀 역시 포스터 교수의 발견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멜라놉신을 만들지 못하는 쥐(따라서 ipRGC가 제기능을 못한다)에서 배외측슬상핵에 있는 뉴런의 절반 ... ...
- [영재교육현장] 수학자·과학자 돼보는 대진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05호
- 담긴 황금비처럼 생활 속에서 수학 원리를 찾느라 분주하다. 자료를 찾고 연구한 뒤, 포스터와 발표 자료를 만들어 교수님과 부모님 그리고 친구들 앞에서 발표까지 하며, 한 팀에 속한 영재들이 지혜와 능력을 총동원한다.생물학반은 멀리 갯벌까지 직접 찾아간다. 갯벌과 바다에 사는 동식물을 ... ...
- “고교생활의 값진 IT 경영수업”과학동아 l2011년 05호
- 투자를 받아 시제품 앱을 개발하고 있다. 함께 일할 개발자와 디자이너도 손수 교내에 포스터를 붙이며 찾아나선다. 김민수 학생은 이처럼 고교생활에서 성적보다는 실무경험을 챙겨왔다. 학교 공부는 부족할지언정, 독서에 소홀하지는 않는다. 책을 읽지 않더라도 항상 달고 사는 게 신조다. ...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하나인 가가린 우주인 훈련센터의 분위기는 설명이 필요 없었다. 여기저기에 축하 행사 포스터가 붙어있었고, 당일인 10월 4일에는 훈련소 강당에서 기념행사도 열렸다. 1957년의 우리나라는 어땠을까. 6.25 한국전쟁이 끝난 지 얼마 뒤라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에게는 당장 생존이 문제였을 듯하다. 그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