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이곳에 붙어 실험을 하곤 한다”면서 “레이저 핵융합을 연구하는 방우석 GIST 물리광과
학과
교수도 이곳에 있는 고체 타깃 레이저로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지만 잽싼 레이저과학 연구단의 ‘구축함’에 언젠가 또 하나의 태양이 떠오를지도 모를 일이다. 이어 찾아간 페타와트 레이저 ... ...
[과학뉴스] 플라스틱 빨대보다 종이 빨대가 유해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과불화화합물(PFAS)’이 검출됐다. 벨기에 앤트워프대 생물
학과
의 티모 그로펜 연구원팀이 지난 8월 24일 국제학술지 ‘푸드 애디팁스 앤 컨태미넌츠(식품첨가물과 오염물)’에 발표한 연구 결과다. doi: 10.1080/19440049.2023.2240908 PFAS는 탄소로 된 뼈대에 불소 원자가 여러 ... ...
[가상인터뷰] 죽어서도 색 바꾸는 호그피쉬의 비밀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무슨 말이죠?이번 연구를 진행한 로리안 슈바이커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월밍턴대 생물
학과
교수는 박사후연구원 시절, 낚시 여행 중에 잡은 호그피쉬가 죽어서도 색깔을 바꾸는 광경을 목격했어요. 죽은 호그피쉬 피부색이 보트 갑판과 같은 색으로 변한거죠. 어떻게 그게 가능할지 궁금해진 ...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균형이 깨지면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임한권 UNIST 탄소중립대학원 에너지화학공
학과
교수는 8월 17일 과학동아와의 화상 인터뷰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의 잔존수명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전기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최 교수와 함께 개발하고 있다”고 ... ...
[인터뷰] 메이커 페어 서울 2023, 새로운 길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구현 방법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배우는 것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동아보건대 마술
학과
교수로 강의를 했을 때 학생들과 ‘다이소 프로젝트’를 진행해본 적이 있었다. 값비싼 마술 도구의 기능을 저렴하게 구매한 재료로 직접 구현해 보는 프로젝트였다. 그는 “프로젝트로 학생들이 마술과 마술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관심이 생겼어요. 사람마다 음악을 다르게 듣는다는 사실이 신기했죠. 그래서 심리
학과
에 편입했고, 음악 인지과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어요.” 이 교수의 연구 분야는 음악이 어떻게 뇌에서 해석되는지 연구하는 ‘음악신경과학’이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신경과학은 물론, 음악 자체를 다루는 ... ...
[인터뷰] 양자내성암호를 우리의 삶으로 이끄는 수학자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스텔레 프랑스 리옹 고등사범학교 전산
학과
교수 “우리 팀이 만든 크리스탈 카이버(CRYSTALS-Kyber)와 크리스탈 딜리슘(CRYSTALS-Dilithium)이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에 중요한 보안, 효율성, 구현 용이성 세 가지 측면에서 최선의 알고리즘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좋은 알고리즘이에요. 그런 ... ...
[빅잼]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공중 부양을 연구라고 1996년의 어느 금요일 밤, 안드레 가임 네덜란드 네이메헌대 물리
학과
교수(사진)는 이상한 실험을 시작했다. 자신이 몸담고 있던 연구실의 가장 중요한 실험 장비인 20 테슬라 성능의 강력한 전자석 내부에 물을 부은 것이다. “장비에 물을 붓는 것은 확실히 표준적인 과학 ...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보여주는 예시가 바로 홍대용과 그의 지전설이었다. ❋필자소개김슬기. 서울대 과학
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friends1133@naver ... ...
[기획] 베토벤의 사인은? 머리카락은 알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샘플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DNA 조각을 발견했어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고고
학과
트리스탄 베그 박사는 “베토벤이 매일 점심마다 최소 1L(리터)의 와인을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며 “유전적으로 간 질환에 걸리기 쉽고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데다가 알코올을 너무 많이 섭취해 건강에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