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가운데
d라이브러리
"
한복판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을 통해 휴머니즘 그리고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이름 석 자만 보고도 숨 막히던 유년기를 보낸 이라면 사정은 조금 다르다. 부천시
한복판
에 있는 작업실에서 만난 노(老) 감독은 영락없는 현역이었다. 그의 온몸에서 뿜어 나오는 열정은 젊은 감독 저리 가라다.김 감독이 거대로봇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만화영화를 만들겠다고 생각한 것은 국내 ... ...
야광귀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처음 뛸 때에 한 사람만 널 위에 있고 다른 사람은 높이 뛰어 널을 구르며 시작하거나, 널
한복판
에 한 사람이 올라앉아 구르는 편으로 이쪽 저쪽 몸무게로 힘을 더해 주어 구르는 사람들이 힘차게 뛰어오를 수 있게 도와 주는 것이 좋습니다.윷놀이‘윷이야~ 윷! 모다~ 모야!’설날이 되면 친척들과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자리한 본부 부지는 처음 설립 당시에는 한적한 장소였지만 지금은 번화한 도심
한복판
이 돼 버렸다. 수만 평에 달하는 울창한 수목 사이사이로 자태를 드러내는 관측시설들은 NAOJ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카이후 노리오 NAOJ대장은 스바루 망원경을 제일 먼저 자랑했다. 역시 스바루 망원경은 ... ...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가상공간을 하나로 묶어 새로운 혁명을 예고하고 있다. 정보통신부는 최근 서울 광화문
한복판
에 유비쿼터스 생활을 미리 맛볼 수 있는 전시관(유비쿼터스 드림관)을 열었다. 커피 날라주는 로봇과 외출복을 골라 주는 마술 거울 등 눈 앞에 성큼 다가온 미래 생활을 살펴보자.귀족 같은 삶 즐기는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460만년 전 화산폭발로 동해
한복판
에 홀연히 솟아 오른 독도. 나이로만 따지면 1만년 전에 생긴 제주도와 울릉도는 감히 독도에 비할 바가 아니다. 독도는 그 긴긴 세월동안 바람의 노래, 물의 노래를 벗 삼아 홀로 동해를 지켜 온 파수꾼이다.우리는 흔히 독도를 한자 뜻 그대로 ‘외로운 섬’으로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있는 모아이 석상의 비밀을 밝혀 내는 것. 탐험가 레이자 툼의 의뢰를 받아 남태평양
한복판
에 외롭게 서 있는 이스터 섬에 도착한 레오 일행. 수천 개에 달하는 거대한 석상에 할 말을 잃는다. 석상들의 높이는 3.5∼5m, 무게는 20톤이 넘는다. 가장 큰 것은 높이 10m에 무게는 90톤에 달한다. 이 ... ...
자동변속기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변속레버를 바꿔줘야 하기 때문이다. 운전자의 조작이 조금만 서툴러도 차는 금새 길
한복판
에 멈춰선다. 이제는 거의 모든 차에 변속 조작이 필요없는 자동변속기가 탑재되고 있다. 운전을 한결 편리하게 해주는 자동변속기의 원리를 살펴봤다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슈투트가르트의 여름과학축제에서는 과학자를 만나는 일이 전혀 어렵지 않았다. 시내
한복판
에 마련된 천막 안의 전시물들 옆에서 관람객들에게 일일이 설명을 해주는 이들은 모두 박사과정에 있거나 박사학위를 받은 과학자들이었다. 트럭에서도, 가상현실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도대체 ... ...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자기 둥지 앞에서 숨 거두는 가시고기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한다. 어름치가 자갈 더미를 강 가장자리에 모으면 그 해는 비가 많이 오고, 강
한복판
에 모으면 가문다고 한다. 어름치가 깊은 곳에 자갈탑을 쌓는 건 비가 안와 강물이 줄어드는 것에 대비하기 위해서고, 얕은 곳에 쌓는 건 비가 많이 와도 지장이 없게 하기 위해서다.우리 땅에 살고 있는 ... ...
10. 2억년 후 한반도는 초대륙의 중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돌출된 거대해산이 일본열도와 충돌하면서 터질 전망이다. 약 1억2천만년 전 태평양의
한복판
에는 거대한 맨틀이 솟아올라 한반도보다 조금 큰 규모의 거대한 해산, 샷스키가 형성됐다. 현재 일본 동쪽으로부터 1천3백km 정도 떨어져 있는데, 태평양의 이동속도가 연간 1백mm이므로 1천3백만년 후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