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바로 북태평양의 ‘귀요미’ 해달입니다. 해달은 바다의 사막화를 막는 해양 생태계
핵심
종이에요. 이 때문에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는 해달의 개체수를 100배가량 늘리기 위해 치열한 노력을 했죠. 해달의 귀여운 모습과 더불어 해달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까지 알아 보세요. 미국에서는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2023 한국과학영재학교 합격 비결은 수학 아이디어 공책x폴리매스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적는 란에 의 폴리매스 문제를 풀어 본 과정을 적었습니다. 그
핵심
에는 수학 아이디어 공책이 한몫했는데요. 수학 공책 작성법과 한과영 입학 꿀팁을 지금 바로 공개합니다. Q. 자기소개서 3번에 폴리매스 문제를 푼 과정을 적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처음으로 학교나 학원에서 주는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간의 연결이 강화된다”며 “이를 이용해 점점 더 강한 연결을 만든 것이 이번 연구의
핵심
”이라고 설명했다. 뇌 오가노이드, 간단한 수학 방적식도 풀어 뇌공학자인 조일주 고려대 의대 교수는 케이건 박사팀의 이번 논문을 “뇌세포의 연결을 컴퓨터의 회로처럼 활용했다는 점에서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더욱 높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우리 인류가 직면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수단으로 자리잡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석상일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서울대에서 무기재료공학으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코넬대 재료공학과 박사후과정, ... ...
토론 1. 챗GPT, 학교에서 허용해도 될까?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편리하죠. 익숙함의 힘이 생각보다 큽니다. 선동현 챗GPT가 미래 산업을 이끌
핵심
기술이라는 것을 전제로 이야기하시는 것 같아요. 챗GPT의 문제점이 부각되면, 1950년대 개발된 AI가 한동안 정체기를 맞았던 것처럼 챗GPT 산업이 쇠락할 수 있어요. 챗GPT의 도움을 받아 생각하고 일하는 방식에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계속해서 중요 내용을 요약하는 거죠. 따라서 이용자가 과거에 한 어떤 질문과 대답도
핵심
내용은 언제든 파악할 수 있어요. 이번 연구 논문은 3대 자연어 학회 중 하나인 ‘전산언어학학회(ACL)’에 소개될 예정이에요. AI 연구원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은 비판적 사고 크래프톤에 입사하게 된 ... ...
[포토뉴스] 그림자・제트 동시 포착 진짜 블랙홀을 보다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이번 관측을 통해 블랙홀 중심부의 부착원반에서 나온 빛이 주변 고리구조를 만드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이전 관측에서 보지 못한 3.5mm 파장대의 고리구조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다. 박종호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어떤 방식으로 ... ...
프로야구 순위 경쟁, 게임 체인저는 여름?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유지할 수 있을까? 잠시 주춤하는 만년 상위권 두산은 다시 기를 펼 수 있을까? 야구의
핵심
변수 ‘여름’을 잘 다루는 팀이 마지막에 웃는 자가 될 것이다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하는 다양한 연구들은 바이오컴퓨터에 실제 뇌 같은 신경 회로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 될 것이다. 위 두 가정에서 상상력을 더해 인간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바이오컴퓨팅과 동물의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바이오컴퓨팅을 비교해 보는 것도 흥미롭다. 인간 대뇌의 특정 능력이 다른 동물에 ...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때문이다. 특히 전기화학 반응 중에 형성되는 중간생성물의 반응 경로를 제어하는 것이
핵심
이다.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에서 찾고자 하는 길은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의 ‘다중 탄소 화합물’로 만드는 방법이다. 다중 탄소 화합물이란 탄소가 2개 이상 결합한 화합물이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