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학과"(으)로 총 1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큐 공감 이라는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데요. 고래에서 시작해서 지금 온돌까지 이야기가 진행포스팅 l20141101
- 온돌 발견. 한반도의 선사인류는 고래를 따라 나서고 미지의 대륙 알래스카와 조우 했을 것입니다. 너무 흥미진진했습니다. 고고학과 선사유물. 거기에 해양생물과 캄차카 반도에서 알류산 열도를 통해 알래스카까지 여행한 여행기도 나오고. 멋집니다.! ... ...
- PISAF 부천국제학생애니메이션페스티벌 PISAF기사 l20141007
- 1999년에 국내 최초로 개최된 학생 중심 애니메이션 전문 영화제로 국내외 만화·애니메이션 및 영상, 미디어 관련 학과 학생 및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매년 가을 개최되고 있습니다. PISAF를 통해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인 애니메이션 산업의 전문 인력을 발굴하고 육성함 국제 애니메이션 네트워크 구축과 상호교류를 통한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기반을 ...
- 섭섭박사님은 왜 섭섭박사님이지? 섭섭박사님이 들려준 꿀~~ 같은 강의기사 l20140627
- 나라에서도 신기해서 찾아오기도 한다고 했다. 동아사이언스 기자가 되려면 호기심이 많아야 하고, 과학을 좋아해야하고, 신문방송학과를 꼭 나오지 않아도 되지만 글쓰는 것에는 소질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꼭 이것을 해야한다 보다는 차근차근 나아가며 기사,글쓰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게 좋다고 하셨다. 또 기자가 되려면 말을 잘해야한 ...
- 무한상상실 발명프로그램, 우리 함께 배워볼까요^^ 발명하고 싶은데 아이디어가 안떠오르는 사람, 요기요기 붙어라기사 l20140523
- 도출해 봄으로서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프로그램이라고 해요. 무슨 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전화로 여쭤보니까 발명학과 대학생 형들과 함께 4주간 토요일에 2시간씩 어떻게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고, 그 아이디어를 어떻게 구체화하는지를 실습해보는 수업이라고 설명해주셨어요. 저는 발명을 잘하고 싶은데 도대체 뭘 발명해야하는지 아이디어가 잘 떠오르지 않았 ...
- 하늘 위의 즐거움, 함께 나눠요 하이원 에코투어 캠프 안내기사 l20140516
- / 나와 우리 가족, 자존감은 몇 점? / 자존감을 높이는 대화법 / 가족과 함께 행복한 나 만들기※ 이명경 원장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상담 전공 석, 박사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 한국상담학회 이사 / 한국교육치료학회 이사 / 한국집중력센터원장 ‣ 공연 : 퍼니스트 공연(즐거움을 일으키는 사람, 모든 이들에게 웃음과 행 ...
- 사교육아, 너 나쁜거니?기사 l20140403
- 학원에서 공부하는 것이 낫다고 아이들은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좋아하는 과목이라면 친구들도 다닐 의향이 있을 겁니다. 6. 학과목을 여러 개의 학원에 다니나? 4명이 여러 개의 학원에 다닌다고 했습니다. 7. 학원이 즐거운가? 자유를 위한 탈출이라고 볼 수 있죠. 학원이 즐거운 것도 ‘나는 해방이다.’ 라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갑 ...
- 저와 저의 토론 '영웅이 과연 이 역사를 짊어지고 이끌어 나가는 것인가?'기사 l20140325
- 영웅이 역사를 이끄는 것이 아닌 민중이 역사를 이끌어 나간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로서는 첫째,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역사학과 교수였던 액텅 경은 “권력은 부피하기 싶다. 절대 권력은 절대적으로 부패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영웅과 같은 권력을 갖는 사람들은 그것을 나누어 주려고 하기보다는 독점하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따라서 한 사람이 ...
-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체험을 마치고 내게 또 하나의 도전기사 l20140227
- 대학에서는 주로 망원경으로 별과 태양을 관찰하는 재미있는 체험보다는 연구를 많이 한대요. 대학에서 천문학을 배우려면 수학과 물리를 잘해야 한대요. 휴~그래서 아버지께서 천문학을 중간에 포기하셨나봐요. 별을 가슴에 키우고 싶으셔서요. 천문대장님을 이자리에 있게 한것은 알퐁스 도데의 과 칼 세이건의 이라고 하는 말씀을 듣고, ...
- 잠 못 드는 밤, 어둠이 싫어~어린이과학동아 l20120626
- 최근 과학자들이 잠을 잘 자지 못하는 사람들은 어둠에 특별히 예민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답니다. 캐나다 라이슨대학교 심리학과 콜린 카니 교수팀은 대학생 93명을 대상으로 불면증과 빛에 대한 민감성을 조사했어요. 실험 참가자들은 잡음이 흘러나오는 헤드폰을 쓰고 어두운 곳과 밝은 곳에 있었어요. ...
- 동료 살리는 침팬지 위험 신호!어린이과학동아 l20120112
- 침팬지도 사람처럼 남의 처지를 이해한대요. 영국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 심리학과 캐서린 크록포트 교수팀이 국제 학술지‘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침팬지는 동료가 위험할수록 위험 신호를 더 많이 보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답니다. 크록포트 교수팀은 2008년 9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우간다 부동고 숲의 침팬지 33마리를 대상으로 실험했어요. ...
이전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