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명
창안
구상
착상
궁리
연구
창시
뉴스
"
고안
"(으)로 총 771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회절 난제' 극복한 광 디스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쓰이는 미세 가공 기술 '리소그래피'를 광 디스크 메모리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
하고 9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규모로 미세하게 가공할 수 있는 리소그래피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리소그래피는 저장장치 표면에 만들고자 하는 패턴을 빛으로 촬영한 수지를 칩 표면에 ... ...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김준환·이존화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제조 및 운송·보관이 까다로운 바이러스 대신 세균을 이용한 항원 발현·전달 시스템을
고안
해 동시에 여러 표적항원을 발현시킬 수 있는 ‘세균전달 시스템 백신 플랫폼’을 개발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조류독감(AI) 등의 효과적 예방에 기여했다. 이 교수가 개발한 세균전달 시스템 백신 ... ...
한알만 먹어도 음식 섭취량 40% 줄이는 캡슐
과학동아
l
2024.02.03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진동으로 가상의 포만감을 만드는 방법을
고안
했다. 인간은 위가 음식으로 채워짐에 따라 위벽이 늘어나고 이를 감지한 위벽 팽창 감지 수용체(IGLES)가 활성화돼 뇌로 신호를 보내면 포만감을 느낀다. 연구팀은 IGLES가 자극을 받아 활성화 될 수 있도록 ... ...
두개골 안 뚫고 파킨슨병 완화…자기장 치료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앞서 개발한 나노-자기유전학 기술을 DBS에 적용하는 방법을
고안
했다. 나노-자기유전학은 자기장을 이용해 뇌의 특정 신경세포를 무선으로 활성화해 뇌 기능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뇌 심부에 자성을 띠는 나노 크기 입자를 주입하면 특정 자기장에 감응해 자성나노입자가 ... ...
英 핵융합 실험장치 'JET'40년 만에 해체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한다는 것이다. 네이처에 따르면 제트 엔지니어들은 샘플 타일을 제거하기 위해 새로
고안
한 로봇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들은 원격으로 작동하는 레이저를 사용해 샘플에 얼마나 많은 삼중수소가 들어있는지를 측정하기로 했다. 올해 제트에선 4000개 이상의 부품들 중 최초로 60개의 벽 ... ...
국내 첫 유전자가위 영상화…"체내 이동·효과 즉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간경화 치료를 목적으로 진행됐다. 간경화에 악영향을 주는 콜라겐의 증식을 억제하도록
고안
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활용했다. 이 유전자 가위와 지르코늄-89를 합성한 후 체내에서 잘 전달되도록 지질 나노입자로 둘러싸 캡슐화해 정맥주사로 간에 전달했다. 이 과정을 양전자단층촬영(PET) ... ...
항생제 없이 피부 상처 치료 2배 빠르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치유 방법이 개발됐다. 국내 연구팀이 항생제 없이 상처를 빠르게 치료하는 원천기술을
고안
해 그 효과를 규명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허찬영 성형외과 교수, 남선영 연구교수, 최경민 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금속유기구조체(MOF)를 활용해 항생제 없이 피부 상처를 빠르게 ... ...
열 손가락 지문 다 다르다는 상식 깨질까...AI가 유사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받았다. ● 기존과 다른 AI의 지문 식별법..."AI ‘상식 뒤집기’ 예고편" 연구팀이
고안
한 AI 시스템이 2개의 지문을 놓고 동일인의 것인지 판별할 수 있는 이유는 기존 시스템과는 다른 표지를 근거로 판단을 내리기 때문이다. 지문을 식별하는 기존 방법은 ‘미뉴셔(minutiae)’라는 특징점을 ... ...
기체 상태 '이온' 찰나의 움직임, 실시간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연구팀은 이온 동역학을 관측하기 위해 빠르고 작은 움직임을 볼 수 있도록
고안
된 ‘메가전자볼트 초고속전자회절(MeV-UED)’ 장비를 활용했다. 교류 전자총을 이용하기 때문에 직류를 사용하는 기존 방법보다 전자를 빠르게 가속할 수 있고 우수한 시간 분해능과 밝은 회절 패턴을 얻을 수 있다. ... ...
얇은 필름 쌓은 '풍선 실험실'로, 우주 감마선 정밀 포착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수 있을 거라고 봤다. 연구팀은 얇은 필름 여러 장을 팬케이크 쌓듯 겹쳐쌓는 방법을
고안
했다. 렌즈가 포착한 입자가 필름 여러 장에 걸쳐 쌓이면 입자가 움직인 궤적을 보다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이다. 또 필름에 기록된 감마선이 언제 발생했는지 분석하기 위해 가장 아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