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광"(으)로 총 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극저온 분자 '양자 얽힘' 첫 구현...양자컴 상용화 빛 볼까동아사이언스 l2023.12.11
- 분자들의 상태, 위치, 온도까지 제어할 수 있다. 이어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를 집는 '광집게'로 분자를 하나하나 집어 배열한 다음 분자 2개씩 짝을 이뤄 양자얽힘 상태를 만들었다. 한 쌍이 된 분자들의 양자얽힘 상태를 이끌어내는 건 분자 간 전기 쌍극자 상호작용이다. 전기 쌍극자는 자석의 ... ...
- 나노 소재 성질 한번에 측정…‘융합 나노현미경’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3.12.05
- 사이언스 앤 애플리케이션’에 11월 온라인 공개됐다. (왼쪽부터) 이선호 KRISS 나노분광이미징팀 박사후연구원, 이은성 책임연구원(팀장), 장정훈 책임연구원 ... ...
- 건물서 버려지는 에너지로 옥상 온실서 파프리카 재배동아사이언스 l2023.11.15
- 수 있고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광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작물의 광합성 효율을 높인다. 옥상 옥실 개발 사례는 각국에서 늘어나고 있다. 이상민 기계연 친환경에너지변환연구부 무탄소연료발전연구실 책임연구원은 “독일은 마트 위에 온실을 만들어 재배한 작물을 ... ...
- '나비의 눈'에서 암세포 구별 이미지센서 힌트 얻었다동아사이언스 l2023.11.07
- 을 사용했다. 이미지 센서 페로브스카이트나노결정 층의 배열을 보완해 자외선을 초록색 광선으로 나타낼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없었던 UV를 ‘볼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완성된 이미지 센싱 기술은 건강한 세포와 암세포를 구별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100경분의 1초 뛰어넘는 '젭토초' 바라본다2023.10.17
- 202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피에르 아고스티니, 페렌츠 크라우스, 앤 릴리에 교수 (왼쪽부터)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은 아토초(100경분의 1초) 단위 ... 연구위원을 거쳐 현재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 GIST 물리광과학과의 아토초 과학 연구실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
- 나무가 대기오염 주범?...지구 더워지면 가능해져동아사이언스 l2023.10.06
- 현상이 발생한다. 이소프렌은 사람을 포함한 대부분의 생물체에서 합성되는데 특히 광합성이 활발한 식물 조직에서 다량 생성된다. 대표적으로 참나무, 포플러나무, 유칼립투스 그리고 일부 콩과 식물에서 방출된다. 앞선 연구에 따르면 지구상에서 식물이 배출하는 이소프렌은 연간 약 6억t이다. ... ...
- [노벨상 2023] QLED TV에서 첨단의료까지…'양자점' 세상 연 3인, 화학상(종합)동아사이언스 l2023.10.04
- 바웬디 교수의 기술 개발로 원하는 크기의 입자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이는 색 순도와 광 안정성이 높은 QLED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바탕이 됐다. 양자점 기술은 디스플레이 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 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사용된다. 바웬디 교수의 제자였던 김성지 포스텍 화학과 교수는 "진단 및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에 '100경분의 1초' 아토초 펄스광 고안한 과학자 3인 (2보)동아사이언스 l2023.10.03
- 피에르 아고스티니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 페렌츠 크라우스 독일막스플랑크양자광학연구소·뮌헨대 교수(61), 앤 륄리에 스웨덴 룬드대 교수(65)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아토초에 해당하는 매우 짧은 시간에 빛의 파동을 만들고 파동이 원자와 분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 ...
- 나노 창으로 찌르고 암세포 속이고…암 치료하는 새 전략 '주목'동아사이언스 l2023.10.01
- 정확히 겨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구체는 광역학치료와 광열치료에서 암세포를 공격하기 위해 사용하는 빛과 열에너지를 보호한다. 이 에너지들이 마치 창처럼 암세포를 찔러 공격하기까지 분해되지 않는 것을 돕는다. 또 나노구체에서 일어나는 펩타이드 반응은 ... ...
- 빛으로 작동하는 ‘다진법 메모리’ 가능성 열었다동아사이언스 l2023.09.21
- 경우 인지율인 93.91%에 근접한 결과다. 황도경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다진법 광메모리 소자는 인공지능 시스템 등 차세대 시스템 기술 산업화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게재됐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