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뉴스
"
궤도
"(으)로 총 2,457건 검색되었습니다.
속수무책으로 증가하는 우주쓰레기…"위성 발사 ‘제약’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10.20
공간이 되려면 지속 운용을 위한 글로벌 규칙과 규제책이 마련돼야 한다. 전문가들은
궤도
를 떠도는 잔해 제거도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수명을 다한 위성이 지구로 안전하게 재진입하도록 설계하거나 로봇 위성을 통해 쓰레기를 포획하거나 레이저를 조사해 대기권 진입을 유도하는 등의 방안이다 ... ...
페리지 "발사체 시험발사 연기"…쉽지 않은 로켓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재사용 발사체 개발에 빠른 속도로 뛰어들고 있다. 스페이스X의 스타십은 지구 저
궤도
에 무려 150t의 탑재체를 쏘아 올릴 수 있다. 재사용까지 가능하면 발사 비용도 기존에 비해 대폭 저렴해진다.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의 탑재 중량은 이미 22.8t이다 ... ...
[어린이 우주인의 기록]④ 초소형 인공위성 설계·제작하는 '나라스페이스' 방문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작다. 옵저버 1A호는 지난해 11월 스페이스X의 로켓에 실려 발사됐으며 성공적으로 지구 저
궤도
에 안착했다. 박 대표는 "옵저버 1A호는 지금도 1시간 30분마다 지구를 한 바퀴 돌며 주요 랜드마크와 생태계, 기후변화를 관측하고 있다"며 나라스페이스의 인공위성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 ...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 사실상 좌절…향후 소행성 탐사 계획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소행성 충돌로 인해 지구에 가해질 충격 에너지의 수준을 측정하거나 소행성의
궤도
를 바꾸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우주감시 측면은 NASA와 같은 대형기관이 하는 일이라고 생각되는 경향도 있는데 우주강국의 대열에 들기 위해선 한국도 과감한 목표를 세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미적분 공략, 시작됐다…시즌 2로 돌아온 신개념 수학 토크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마디로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롤러코스터를 예로 들어 보자. 롤러코스터
궤도
는 곡선으로 이뤄져 있다. 롤러코스터에 타고 있는 승객이 롤러코스터의 궤적이라는 곡선 위를 이동하는 점이라고 생각해 보자. 롤러코스터가 경사면을 올라가고, 내려가고, 평평한 길을 달릴 때 승객은 ... ...
[어린이 우주인의 기록]③ 인공위성 어떻게 만들어지나…항우연 위성총조립 시험센터 탐방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7
위성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023년 유럽우주국에 따르면 지구
궤도
를 돌고 있는 우주 쓰레기는 1억 3000만 개 이상이다. 한 박사는 "여러 나라가 우주 쓰레기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이미 많이 개발된 인공위성을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중요하다"고 ... ...
"얼음바다에 생명체 있을까"…NASA 최대 행성 탐사선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예정이다. 중력 도움 비행이란 우주선이 천체에 가깝게 접근해 이 천체의 중력을 이용해
궤도
를 변경하거나 비행 속도를 조절하는 비행을 말한다. 탐사선의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천체의 중력만으로 우주선의 속도와 경로를 바꿀 수 있어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단, 유로파 ... ...
17일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못 느낄 수 있다. 지구에서 달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
로 돌기 때문이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달이 커 보이고 멀면 작게 보인다. 국립과천과학관은 17일 ‘슈퍼문 특별관측회’를 오후 7시부터 오후 9시 30분까지 경기 과천시 ... ...
'젓가락 팔'로 회수한 스타십…"상상이 현실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47 항공기 63대가 내는 추력과 같다. 탑재 중량 역시 최고다. 스타십은 고도 200km의 지구 저
궤도
에 150t의 탑재체를 쏘아 올릴 수 있다. 동일한 고도 기준 새턴5는 118t,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스페이스론치시스템(SLS)’은 약 95t이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는 1.9t에 불과하다. 한편 엑스(구 트위터)의 한 ... ...
올 들어 가장 밝은 혜성 12일 일몰 이후 서쪽하늘에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뒤 12일 자정 무렵 지구와의 거리가 7000㎞로 가까워진다. 쯔진산-아틀라스 혜성의 공전
궤도
및 근지점(2024년 10월 12일)을 통과할 때의 위치. 천문연 제공 얼음, 먼지, 암석 등으로 구성된 이 혜성은 태양에 가까워지면서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고 꼬리를 만들게 된다. 유동성이 큰 특성 때문에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