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껍데기
각질
피혁
가죽
등딱지
껍찔
깍지
뉴스
"
껍질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로 긴급 승인된 印 코로나19 DNA 백신...주삿바늘 없애고 효능 66.6%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회장(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은 "이전에는 바이러스를 약독화하거나 아데노바이러스
껍질
등으로 싸 바이러스의 DNA를 체내로 주입하는 방식이었다면 DNA 백신은 필요한 DNA만 정체해 플라스미드에 실어 넣는 방식"이라며 "오히려 다른 백신에 비해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식물 유래 코로나19 백신이 온다
2021.08.17
성분인 M1 단백질의 유전자를 같이 넣어야 VLP가 만들어질 것이다. M1 단백질로 이뤄진
껍질
바깥에 지질막이 덮이고 지질막 여기저기에 HA 단백질이 박혀있는 구조다. 그런데 막상 실험을 해보니 M1 없이 HA만 있어도 VLP가 만들어졌다. 이는 HA 단백질에서 지질막에 박혀있는 부분의 기하학적 구조가 ... ...
[잠깐과학]효심에서 탄생한 진통제 아스피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31
대성공을 거두어 지금까지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의약품이 됐습니다. 버드나무
껍질
은 고대부터 진통제의 원료였다. 픽사베이 제공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8월 1일 발행, [이달의 과학사] 1897년 8월 10일 진통제 아스피린 ... ...
'별의 탁아소' 둘러싼 가스 거품, 별 생겨날 때마다 팽창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주변에 있던 가스를 거품처럼 부풀게 만든다. 가스 거품은 표면에 탄소 이온 밀도가 높아
껍질
처럼 작용해 잘 터지지 않는다. 이 속에서 뭉쳐 있는 성간물질이 계속해 새로운 별을 만들어 낸다. 가스 거품은 ‘별의 탁아소’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나 그 구조는 거품을 주변 물질과 구분하기 어려워 ... ...
“해양 산성화로 녹은 탄산칼슘, 바다의 이산화탄소 흡수력 복원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껍질
이 산성화된 바닷물에 녹아 얇아지고 있으며, 해양 산성화가 심각해지면 아예
껍질
이 녹아 없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이기택 포스텍 환경공학과 교수는 리처드 필리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태평양해양환경연구소 연구원 겸 워싱턴대 해양학부 교수와 공동으로 바다에 용해된 ... ...
벼락 맞고 바나나가 된 나무
팝뉴스
l
2021.06.18
같은 나무가 실제로 존재할 수는 없다. 알고보면 나무는 불쌍하다. 벼락을 맞고
껍질
이 홀라당 벗겨져 저런 몰골이 되고 만 것이다. 벼락의 위력에 다시한번 놀라게 된다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학부생 인턴, 코로나19 최전선의 연구실을 경험하다
2021.05.17
2 연구팀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IBS 제공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껍질
안에서는 gRNA(유전체RNA‧genomic RNA)라고 불리는 RNA가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암호화한다. gRNA는 숙주세포로 들어가 분자 시스템에 의해 번역되어 27개의 바이러스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들은 ... ...
[지구는 살아있다] 왜 설악산 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일까
2021.03.27
지질학자들은 이렇게 암석에 난 틈을 ‘절리’라고 부른다. 화강암의 절리는 마치 양파
껍질
처럼 바깥부터 겹겹으로 벗겨진다. 그래서 화강암 절벽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 울산바위처럼 돔 형태의 둥글둥글한 모습으로 바뀐다. 제주도 현무암에는 화산 활동의 흔적이 남아 있다. 용암이 흐른 자국인 ... ...
가짜 바이러스 RNA로 백신 효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살아있는 완전한 바이러스가 아니라 바이러스 조각이나 바이러스 RNA가 빠진 바이러스
껍질
단백질, 죽은 바이러스다. 그러나 RNA가 빠진 바이러스 유래 단백질 항원을 체내에 투여하면 외부 항원을 인식하는 세포 수용체가 바이러스 RNA를 인식하기 어려워 면역반응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 ...
한달내 자연에서 분해되는 KF94 마스크용 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강도를 가진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섬유를 겹쳐 부직포로 만들었다. 이 부직포에 게
껍질
에서 추출한 키토산을 나노입자로 만들어 코팅했다. 섬유는 나노 섬유와 마이크로 섬유를 섞어 바이러스나 미세먼지가 통과하지 못하면서도 통기성을 높였다. 키토산 나노입자는 양전하를 띠어 주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