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간
하루
날
일일
일일간
날씨
일기
뉴스
"
낮
"(으)로 총 1,249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독 잦은 것 같은 올 봄 꽃샘추위…"따뜻한 겨울 여파"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꽃샘추위가 3월 세 번째 들이닥치면서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올봄 유독 추운 것 같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달 들 ... 다음 주 월요일인 25일부터는 수도권 기준으로 아침 최저기온이 7, 8도로 확 올라간다.
낮
기온이 20도에 육박하는 지역도 나올 예정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밤
낮
안 가리는 산불 원인은 기후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3.16
겹겹이 쌓인 구름에 비친 붉은 빛이 인상적이다. 산불은 보통 밤보다 기온이 높고 건조한
낮
에 더 많이, 더 크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에는 밤새 타오르는 야간 산불이 증가하는 추세다. 야간 화재는 진압이 어려워 피해가 커지는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기후 변화가 ... ...
[과기원NOW] GIST, 순록 눈 영감 받은 광필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객체 인지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소자로 활용할 수 있다. 자율주행차에 적용할 경우
낮
과 밤(자연광), 터널 운전(인조광) 등 빛 조건이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주행하더라도 색상의 왜곡 없이 물체 인지가 가능하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UNIST 교원창업기업인 에스엠랩이 고속 충전에 ... ...
'지동설' 확립한 과학자들…"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03
움직이는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는 해를 상징하는 신인 라가 매일
낮
배를 타며 하늘을 가로지르고 밤에는 어둠의 세상에서 죽음과 싸운다고 믿었어요. 천체의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가 여럿 있었는데 그중 가장 잘 알려진 시도는 약 2400년 전 그리스의 철학자 ... ...
"정기 건강검진 꾸준히 받으면 질병·사망 위험
낮
아진다"
연합뉴스
l
2024.01.29
질병 위험 감소 사이의 연관성을 입증한 최초 연구로 NHS 건강검진이 질병 발생률을
낮
추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중요한 변화가 단 한 번의 15분 검진으로 발생한다고 보지는 않는다며 당뇨병·고혈압·고콜레스테롤혈증 같은 위험 요인의 조기 발견·치료, 정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저수지 높이차로 만드는 친환경에너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8
가득 채울 정도의 속도로 물을 펌프질할 수 있다. 전력 수요가 최고조에 이르는
낮
에는 물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터빈이 회전하고 백만 가구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1700MW(메가와트)의 전력이 생산된다. 양수발전소는 기후 위기로 더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저널리스트 로버트 컨직은 ... ...
"에너지 음료 마시면 수면장애 위험 증가…섭취 조절 필요"
연합뉴스
l
2024.01.23
불면증은 최소 3개월간 일주일에 3일 이상 밤에 잠들기 어렵고 잠자다 일찍 깨고 3일 이상
낮
에 졸음과 피곤함을 느끼는 경우로 정의했다. 조사 결과 에너지 음료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의/전혀 마시지 않는다는 응답은 여성이 50%, 남성이 40%였다. 매일 마시거나 ... ...
나무 막대기 하나로 알아낸 지구의 크기
2024.01.13
도시에 관한 신기한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 도시에는 깊은 우물이 있는데 1년 중
낮
이 가장 긴 날인 하짓날 정오에 이 우물 안쪽을 들여다보면 그 우물에는 전혀 햇빛이 들지 않고 깜깜하게 보인다는 것이었어요.햇빛이 비치는 방향과 우물이 뚫린 방향이 완전히 같아서 햇빛이 우물을 보는 ... ...
[헷갈린 과학] 양서류? 파충류?…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06
산소를 빨아들이며 숨을 쉬기 때문에 도롱뇽은 메마른 땅에선 살기 어려워요. 도롱뇽은
낮
에는 숲의 축축한 바위 밑에서 숨어 지내다가 밤이 되면 개미나 지렁이를 잡으며 먹이 활동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먹이를 잡기 위해 멀리 이동하지는 못하죠. 도롱뇽은 어린 시절에는 계곡, 성장을 마치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는 거의 언제나 6월 21일이고, 밤이 가장 긴 ‘동지’(冬至)는 거의 언제나 12월 21일이다.
낮
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과 추분은 거의 언제나 3월 21일과 9월 23일이다. 우리를 포함한 동양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24절기가 모두 그레고리력에 정확하게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도 매년 달력을 새로 인쇄해야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