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뉴스
"
덕분
"(으)로 총 2,41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율운항 선박 자동으로 항구에 정박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유압 시스템에는 위, 아래, 좌우,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4자 유도 특성이 있다.
덕분
에 계류 작업의 정확성과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자동 계류 시스템은 자율운항 선박에도 적용할 수 있다. 김 연구원에 따르면 "기존 와이어 방식을 이용해 선박을 계류할 경우 길이가 100m 이상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 이겨내는 고난이 있을까
2024.11.16
일은 외적 귀인(운이 나빴음)을 하는 반면 좋았던 일은 내적 귀인(자신의 능력과 노력
덕분
)을 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렇게 스스로는 지각하지 못할지언정 분명히 존재했을 주변의 도움을 무시한 채 자신과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른 사람을 돕기는 커녕 "나는 혼자 해냈는데 너는 왜 못하냐 ... ...
빛만으로 건강 모니터링하는 무선 웨어러블 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기술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단순한 회로 구조와 낮은 전력만으로 작동하는 장점
덕분
에 다양한 회로 응용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다. 연구를 이끈 이원령 연구원은 "기기의 착용 위화감 없이 정밀한 건강 모니터링을 장기간 제공할 수 있다”며 “당뇨병 등 대사 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렌 버먼, 2024 노벨화학상 숨은 공로자
2024.11.13
성공할 수 있었던 건 세계 연구자 누구에게나 공개된 PDB의 고품질 실험 데이터를 학습한
덕분
인 셈이다. 만일 PDB가 실험 데이터라고 무조건 받아주거나 예측 데이터가 섞여 있는 상태였다면 AI 프로그램이 잘못된 학습으로 지금 같은 성능을 발휘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2024 노벨화학상 수상자들이 ... ...
[르포] 세계적 화석 산지 캐나다가 '고생물학 선진국'이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4.11.13
공공의 자원으로 여기고 도굴이나 불법판매로부터 보호하는 법률을 엄격하게 시행한
덕분
이었다. 화석을 보호하는 법적 근거는 '역사 자원법(Historical Resources Act)'이다. 앨버타주의 고고학적 가치를 지닌 유물과 유적지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역사 자원법은 1978년부터 화석 또한 보호의 ... ...
한국 '인공태양' 극한 환경 플라즈마 운전 기술 확보 실험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있는 텅스텐 불순물 제어 연구를 중점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텅스텐은 열에 강한 특성
덕분
에 핵융합로 내벽 소재로 적합하지만 운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텅스텐 불순물이 플라즈마의 성능 및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동일한 텅스텐 소재를 활용할 예정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및 ... ...
"과학수재만 참여하는 과학전람회?…일상의 호기심에서 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정호근 교사는 교사생활 20년 중 12년간 전람회 수상을 할 수 있었던 이유가 학교 지원
덕분
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단시간에 성과를 내려고 하면 전람회가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다”며 “1년 정도 연구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아이들이 장기간 연구하고 매년 출전할 수 있도록 학교가 도와줘야 ... ...
DNA 종이접기 기술, 과학자들이 열광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10.26
종이접기 하듯 접어 원하는 모양을 만드는 것을 DNA 종이접기 기술이라고 합니다. 이 기술
덕분
에 DNA를 활용한 약물 운반체, 바이오 센서와 같은 나노 구조체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폭발적으로 높아졌습니다." 8월 29일 아주대에서 만난 이재영 아주대 기계공학과 교수가 말했습니다. 이 교수는 ... ...
6년 만에 가장 큰 '소수' 발견…기존보다 1600만 자릿수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알아서 계속 검사한다. 35번째부터 51번째로 알려진 메르센 소수까지 모두 GIMPS
덕분
에 발견했다. 기존 가장 큰 소수는 51번째 메르센 소수로 2018년 미국에 사는 당시 35세의 IT 전문가 패트릭 라오셰가 발견한 2^82589933-1이다. 그러다 6년 만에 듀랑이 가장 큰 소수인 2^136279841을 발견한 것이다. 듀랑은 1 ... ...
노후교량 교체 최적화 '프리스트레싱 하로형 교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흐름 개선에도 기여한다. 이에 따라 홍수와 같은 재해 대응에도 효과적이며 저중량 구조
덕분
에 공사 기간 10%, 공사비 30% 이상을 절감할 수 있다. 김병석 건기연 원장은 “중·소형 규모의 노후 교량 교체에 최적화된 상부구조 설계 및 시공 기술을 확보함에 따라 국내 노후 교량 교체 시장뿐만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