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풍
마취
몽혼
몽
무감각
혼수
저림
뉴스
"
마비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선거의 계절 딥페이크 판별 등 AI가 불러온 혁신의 물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뇌 신호 해독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BCI의 반응 속도가 빨라지면
마비
환자의 로봇팔을 더 원활하게 제어하거나 인지장애 등 뇌신경질환 환자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AI의 딥러닝 기술도 주목된다. 한국도 세계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는 데 ... ...
국내 연구진, 희귀 난치 하지
마비
유전자 치료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에 지난 1일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HSP는 다리의 근육이 점차 뻣뻣해지고 약해져
마비
에 이르게 되는 유전성 신경계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10만 명당 1.8명꼴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80여 종의 유전자가 복잡하게 얽혀 발병하는 탓에 치료제 개발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HSP가 'ARL6IP1'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있는 나트륨 통로 단백질에 달라붙어 흥분(신호전달)을 멈추지 않게 해 근육수축과
마비
를 일으키고 궁극적으로 죽음에 이르게 한다. 피레트린은 단백질이 기능을 하는데 결정적인 부위에 달라붙기 때문에 돌연변이가 일어나 붙지 못하게 되더라도 동시에 기능도 잃어 살아남지 못한다. 그런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습기 살균제 참사, '살인적 사용법' 책임 물어야
2023.12.20
형편이다. 재판부가 1994년부터 ‘어린아이에게도 안전하다’는 광고로 소비자의 이성을
마비
시켰던 가습기 살균제 제조사에게 확실하게 사법적 책임을 물어야 하는 문제는 따로 있다. 계면활성제를 전혀 넣지 않은 ‘맹물'을 국가기술표준원에 ‘세정제’로 등록했다는 사실이다. 가습기 ... ...
내년 초 태양 활동 극대화…"열차 사고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3.12.11
책을 읽을 수 있을 만큼 밝은 오로라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지고, 전신 시스템이
마비
되거나 전기 충격의 피해를 입은 사람들도 발생했다. 연구팀은 “우주 날씨가 미칠 영향을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며 “발생 빈도는 낮지만 이를 무시하는 것은 최선의 방법이 아니다”라고 ... ...
'유럽 원자력계 거목' 재독 한인과학자 김재일 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3.12.08
교수가 별세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은 김재일 교수가 독일 뮌헨에서 심장
마비
로 별세했다고 8일 밝혔다. 향년 87세다. 김 교수는 서울대 졸업 후 1961년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입사, 이후 벨기에 겐트대로 유학을 떠났다. 이후 1977년 독일 뮌헨공대(TUM)에서 교수자격학위를 취득한 후 ... ...
가장 먼저 늙는 '내 몸 신체기관'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08
위험과 연관성을 보였다. 신장 노화는 고혈압 및 당뇨, 심장 노화는 심방세동 및 심장
마비
발생 위험과도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 연구참여자 60명 중 1명은 두 개의 기관에서 빠르게 노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이들은 노화된 장기가 없는 사람 대비 사망 위험이 6.5배 높았다. 과도한 기관 노화는 곧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결막주름이나 섬유혈관성 조직이 날개 모양으로 각막을 덮으며 자라나는 안과 질환, 안근
마비
등 다양한 안과질환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고대 눈수술. 위키미디어 제공 고대 이집트에서 신격화된 파라오의 왕권을 보호하는 상징이자 건강과 치유를 상징하는 부적의 하나였던 호루스의 ... ...
뇌 신경 '피복' 벗겨지는 다발성 경화증, 줄기세포가 치료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유전적 원인으로 추정될 뿐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주된 증상은 감각이나 신체가
마비
되는 것이다.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법이 실시되고 있지만 환자 중 70%는 진단 후 25~30년 이내에 병으로 인한 장애가 악화된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는 신경세포의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물질인 수초가 ... ...
분자 수준서 심장혈관 본다…한국 연구진, 원천기술 세계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대상으로 영상을 획득했다. 6개월간 지속적으로 영상을 찍어 심장혈관 내에서 심장
마비
를 유발하는 고위험 동맥경화반의 분자적 특성을 밝혀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임상 과정에 참여한 환자에게선 부작용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임상에선 안정형 환자군과 대비고위험 환자군에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