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밧데리
축전지
건전지
전지
베터리
바테리
바떼리
뉴스
"
배터리
"(으)로 총 1,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리튬금속전지', 간단 처리만으로 수명 3배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시간을 아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엄광섭 교수는 "외부 공정 추가 없이
배터리
셀 내부에서 간단한 전기화학 처리만으로도 리튬금속 전지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라며 "리튬금속 전지의 안정성과 수명을 개선한 방법 중 비용과 시간을 가장 쉽게 줄일 수 ... ...
[사이언스영상] 날으는 쇼핑 카트
SEIZE
l
2024.10.02
구분해내기 때문이다. 단점은 드론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다. 또 적재 용량이 2.93kg로 낮다.
배터리
시간 때문에 비행 시간이 제한돼 있기도 하다. 대신 카트를 밀며 계단을 오를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연구팀은 향후 비행 중에 충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 씨즈 영상 ... ...
[과기원NOW] UNIST, 크고 작은 균열 방지하는 접착 패치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25일 밝혔다. 바인더는
배터리
전극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배터리
의 성능, 안정성 및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지난 24일 GIST 오룡관에서 광주·전남 지역 기업인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상윤 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를 초청해 ... ...
심해 광물 덩어리가 뿜는다는 '암흑 산소'…과학자들 논쟁 점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평원에서 망간 단괴로 대표되는 광물 덩어리인 '다금속 단괴(polymetallic nodule)'들이 마치
배터리
처럼 작용하고 물을 전기분해해 산소를 만든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에 공개했다. 연구가 제시한 암흑 산소 가설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현재 지구 생명체가 소비하는 산소의 ... ...
반으로 접거나 잘라도 계속 작동하는 리튬황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9.15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리튬-황
배터리
뿐 아니라 다른 금속 황화물을 사용한
배터리
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 doi.org/10.1021/acsenergylett.4c0190 ... ...
[과기원NOW] KAIST, 혁신창업국가 대한민국 심포지엄 2024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격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수상 기업은 바나듐 이온
배터리
를 개발한 스탠다드에너지와 지능형 메모리를 개발하는 반도체 스타트업 메티스엑스 등 총 6곳이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수상기업들은 첨단기술의 상용화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기술혁신으로 ... ...
탄력있고 튼튼한 새로운 고분자 하이드로젤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하이드로젤 형성 기술의 실용성과 범용성이 매우 높다"며 "의료와 생체재료, 환경,
배터리
와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산업 분야에서 연성 재료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doi.org/10.1038/s41467-024-50902 ... ...
세계 최고 수준 성능 친환경 이차전지 바인더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10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를 이끈 임현균 선임연구원은 “한국
배터리
산업은 세계최고 수준이지만 양극 바인더는 국내에 전문 기술 및 기업이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실록산을 활용한 우리의 친환경 바인더 기술이 기존 PVDF를 대체하고 전기차 등 고용량 ... ...
인공지능으로 이온 농도 예측해 깨끗한 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8
있다. 축전식탈염법은 탄소전극 표면에 수중 이온들을 응집해 제거하는 기술이다.
배터리
전극담수화는 전극 표면의 화학반응을 이용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전기화학 기반 기술도 한계가 있다. 전기화학 기반 기술에 사용되는 기존 수질 측정 ... ...
[과기원NOW] 마이크로파로 고품질 3D 그래핀 폼 만들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06
3D 그래핀 폼은 그래핀 특성을 유지하면서 3차원 다공성 구조로 표면적이 매우 크다.
배터리
나 슈퍼커패시터 등 전기 저장 장치에 활용된다. 연구팀은 전자레인지 수준의 마이크로파로 저렴한 산화 그래핀을 고품질로 개질된 3D 그래핀 폼으로 만들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