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백
뉴스
"
분명
"(으)로 총 986건 검색되었습니다.
평생 반복되는 복통·설사…‘과민성장증후군’ 치료 유익균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등이 유병률을 높이고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발생 메커니즘은 불
분명
하고 치료법도 마땅치 않다. 연구팀은 건강한 장에서 추출한 유익균을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의 장에 이식하는 치료법이 증상 개선 효과가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 적합한 균주를 찾는 연구를 수행했다 ... ...
지구 전체가 얼음 뒤덮이는 ‘눈덩이 지구’, 소행성 충돌이 만들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2.11
얼어붙는 눈덩이 지구가 형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가 어떻게 형성됐는지는 불
분명
하다. 미국 예일대와 시카고대, 오스트리아 빈대 공동연구팀이 눈덩이 지구는 빙하기 및 소행성 충돌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10일 발표했다. ... ...
플라스틱 쓰레기 짊어지고 사는 소라게
동아사이언스
l
2024.01.29
배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소라게에게 미치는 영향은 아직 불
분명
하지만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는 사례들은 명백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고래, 거북이, 물고기 등이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고 먹는 사례도 확인되고 있다 ... ...
환경오염, 내장비만·심혈관질환 위험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1.29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정확히 어떤 메커니즘으로 영향을 받는지는 그동안 불
분명
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환경오염인자가 체내 만성 염증과 대사증후군의 원인이 되며 궁극적으로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인다는 점을 규명했다. 환경오염에 노출된 인체세포는 세포 소기관인 리보솜 등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은 진전 안되고 피곤하다면
2024.01.27
않았거나 아니면 소위 딴 짓을 많이 하며 주의력을 허비했을 때 이런 느낌을 받곤 한다.
분명
시간은 시간대로 쓰고 몸도 마음도 지쳤는데 일은 진전이 없는 듯한 소모적인 상태를 어떻게 하면 막을 수 있을까. 흔히 자신이 일을 하는 과정을 들여다보면 진짜 집중해서 필요한 것들을 해내는 시간은 ... ...
겨울철 피부 스트레스 '건선', 병변 없을 때도 관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경계가 명확하고 은백색 각질이 있는 홍반성 병변이 나타난다. 건선의 원인은 아직 불
분명
하다. 조성진 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면역학적 요인이 발병에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며 “건선 환자에게 나타나는 면역 이상은 면역 저하보다는 피부 면역력이 과도하게 증강돼있는 ... ...
굶주린 반려동물, 사망한 주인 훼손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1
검시관이나 법의학자 등이 존재한다 해도 증거를 제대로 확보하지 않으면 사망 원인이 불
분명
해진다”며 “새로운 수사 흐름도는 반려동물이 있는 사건현장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획대로 일이 되지 않는 이유
2024.01.20
피로에 발목을 붙잡힐 것이고 따라서 가급적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숨만 쉬는 시간 또한
분명
히 필요하다는 사실 또한 기억하자. 최소한의 정신 건강과 생명 유지에 필요한 시간들까지 전부 써버리겠다고 생각하는 경우 그 계획은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무리해서 해내더라도 이후 몸과 마음에 ... ...
"한국 우주개발, 선언에 그쳐…아르테미스 참여 실체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한국이 10번째 참여국으로 이름을 올렸지만 어떤 임무에 참여하고 있는 건지 불
분명
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구조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계획의 특징은 선언적이라는 점인데 선언을 한 뒤 챙기질 않는다"며 "2017년부터 아르테미스 참여에 대한 얘기가 나왔지만 아직 실체가 ... ...
뇌종양 미세환경 촬영…‘반응성 별세포’가 치료 핵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별세포로 활성화된다. 종양세포와 반응성 별세포 사이에 일어나는 대사 메커니즘은 불
분명
하다. 국내 공동 연구팀이 종양 주변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영상화하는 기술을 제안해 종양 미세환경에서 일어나는 대사 메커니즘을 밝혀 새로운 뇌종양 치료 가능성을 열 수 있는 방법을 발견했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