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약
leap
flight
점프
만능약
특효약
특효제
뉴스
"
비약
"(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타트업, 결정적 순간] 유료전환하니 회사 휘청...작가와 선순환으로 J커브 그린 폰테마샵
2018.06.22
정책을 바꾼 후에는 일주일에 1번씩 다수가 앱 다운로드를 받으면서 전체 모수가
비약
적으로 커진 거죠. 폰테마샵을 통한 앱 다운로드 건수가 일주일에 최대 20만 건이 나오면서 마케팅 플랫폼으로서의 위상도 높아졌어요. 덕분에 매출도 안정적으로 나오면서 테마를 제공해준 작가들에게 더 큰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완성형… ‘월-E’
동아사이언스
l
2018.06.18
불린다. 바퀴가 진창이나 돌 틈에 빠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험지 이동 능력이
비약
적으로 높아진다. 건설장비나 군사용 장비의 이동수단으로 자주 쓰인다. 쓰레기를 치우는 로봇이라면, 분명 두 개의 다리를 달고 있는 것보다는 캐터필러를 쓰는 것이 정답이다. 이렇게 생각하고 보면 월-E는 신체 ... ...
[이강운의 곤충記] 시속 50km로 비행하는 나방 박각시를 아시나요
2018.06.06
기름과 보름달 밤에 날아다니는 갈색 나방(박각시)’을 넣고 걸쭉하게 끓이면 마녀의
비약
이 된다. 마녀의 비법 레시피에 빠지지 않는 재료인 박각시는 혐오의 대상이었다. 마녀사냥과 함께 출발한 박각시(나방)에 대한 편견은 무작정인 증오였지만 실용성이 뛰어난 백점짜리 생존 전략을 갖고 있는 ... ...
쇠보다 강한 목재? 고강도 압착 목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2.09
배 높아졌다. 물에 담그면 가라앉을 정도다. 두께도 5분의 1로 줄었다. 반면 강도는 11배로
비약
적으로 늘어났다. 셀룰로오스 미세섬유 분자들이 수소결합으로 형성한 게 주요 원인이었다. 연구팀은 “고강도 강철이나 티타늄 합금 등 대부분의 금속이나 합금보다 강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보통 ... ...
[과학&기술의 최전선] 치매 연구, 20년 외길 '노폐물' 연구 떠나 다각도로 활로 모색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참여해 치매를 다각도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연구비도
비약
적으로 늘었다. 관련 연구비는 2017년 6억4700억 달러(약 6900억 원)로 2014년 1억4100만 달러보다 약 5배로 늘었다. 뜻밖에도 NAPA의 목표는 치매 정복이 아니다. 최 연구부장은 “치매 발병 나이를 5년 늦추는 것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20) 영아 살해와 모성애
2017.11.17
출산 후 첫 일년 동안의 지지가 중요합니다. 사실 아기의 생존 가능성은 첫 일년 사이에
비약
적으로 향상됩니다. 반대로 어머니의 양육 투자율은 상당히 낮아집니다. 첫 일년은 아기가 가장 연약한 시기지만, 이 시기를 무사히 넘기고 나면 생물학적 부모에 의한 영아 살해율은 급격히 감소합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맑게 깨어있는 상태를 말한다. 파란빛이 성성적적을 상징한다고 말하면 필자의 지나친
비약
일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사이언스 팩트체크] 미국 총기사고 빈발하는데... 총기 소유가 개인 안전 지켜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12
기사에 따르면, 결코 그렇지 않다. 오히려 총기 소유는 살인 및 자살 확률을
비약
적으로 높인다(아래는 기사에 소개된 주요 논문 가운데 일부와, 기타 논문들을 원 논문을 확인해 인용한 것이다). 먼저, 총기 소유는 그 자체로 살해 및 자살 위험을 높인다. 아서 켈러만 미국 유니폼드서비스 ... ...
[2017 노벨화학상] 생체 분자 구조 들여다 보는 기술 개발한 과학자들
2017.10.05
마지막 기술적 장애물도 극복했다(그림6). 그림6. 최근 몇 년간 전자현미경 해상도가
비약
적으로 발전했다. 2013년(왼쪽)과 현재의 해상도 차이. - Martin Hogbom 제공 ● 세포를 속속들이 볼수 있다 이제 꿈은 현실이 됐다. 우리는 생화학의 큰 발전을 목격하고 있다. 많은 것이 cryo-EM의 사진 덕분에 ... ...
[2017 노벨 물리학상] 100년 전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을 이끈 과학자들
2017.10.04
관측을 이용한 연구는 광학망원경, X선 망원경 등 다른 망원경을 이용한 연구들처럼
비약
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그동안은 우주를 탐사하는 데 우주선(線)이나 중성미자 같은 전자기파나 입자들이 활용돼 왔다. 그러나 중력파는 시공간에 생긴 혼란 그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다. 이는 이전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