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죽음
사망
귀천
소멸
폐업
뉴스
"
사멸
"(으)로 총 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곰팡이에게 더 작은 미생물이 침입하는 경우 이를 퇴치할 수 있도록 곰팡이는 세균을
사멸
할 수 있는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항생제라 하며 지금까지 수많은 항생제가 개발되어 사람에게서 발생한 세균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곰팡이가 세균을 물리칠 수 있는 ... ...
[과기원NOW] 포스텍, 전하 이동 막아 정전기 센서 성능 오래 유지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9
하나의 염증 소체인 '파놉토솜(PANoptosome)'을 이루고, 동시다발적 염증성 세포
사멸
경로인 파놉토시스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룰러·몰레큘러 이뮨놀로지'에 지난 27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윤명한 신소재공학부 연구팀이 영국 퀸 메리 런던대 ... ...
뇌 신경 '피복' 벗겨지는 다발성 경화증, 줄기세포가 치료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것이다. 수초가 탈락되면 신경신호 전도에 이상이 생기면서 결국 해당 신경세포는
사멸
하게 된다. 모든 종류의 세포로 성장할 수 있는 줄기세포를 다발성 경화증 치료의 단서로 주목한 바 있다. 뇌 신경세포로 발달하는 줄기세포가 손상된 신경세포를 복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
알츠하이머 유발인자 '독성 단백질' 찾았다…새 치료제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3.11.20
알츠하이머 신약 '레켐비'는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의 제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세포
사멸
인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있다. 임 교수 연구팀은 세포 내 단백질 미세주입 기술을 통해 '아밀로이드 전구체 C말단 절단체' 단백질이 아밀로이드 ... ...
"암 종류, 발생 위치 몰라도 치료 가능한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16
임상 3상을 시작했다. V940이 체내에 투여되면 RNA가 항원 단백질로 번역돼 암세포를
사멸
할 수 있는 면역세포가 활성화되는 원리다. 홀렌 부사장은 “키트루다 단독 투여군보다 V940 병용투여군의 암 재발 및 사망률이 더 낮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공개된 임상2b에서 V940 병용요법은 단독요법 ... ...
'2023 한국과학상'에 김창영·이창준…한국공학상에 조광현·이중희
동아사이언스
l
2023.11.09
증가한 '중증 반응성 별세포'가 독성물질인 과산화수소를 만들어 신경세포를
사멸
시키면서 치매를 유도하는 것을 밝혔다. 또 별세포가 억제성 신경물질 '가바(GABA)'를 분비해 도파민 신경세포를 잠들게 해 파킨슨병이 일어나는 것을 규명했다. 조광현 교수는 역노화와 암 가역화 등 되돌리기 힘든 ... ...
가천대 길병원, 첨단 방사선 암 치료기 ‘헬시온’ 도입·운영
동아사이언스
l
2023.10.25
도입해 가동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방사선 암 치료기는 암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해
사멸
시키고 주변으로 암이 퍼지는 것을 막는 치료기다. 암이 있는 부위에만 방사선을 쏘기 때문에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헬시온은 실시간 영상 유도 기반의 세기 조절 방사선 치료기다. 기존 ... ...
DNA 복구 중 결함·돌연변이 막는 ‘결정적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이 복구 시스템이 복구 결함과 돌연변이가 적게 발생하도록 작동하지 않으면, 세포가
사멸
하거나 절단된 DNA가 다른 DNA 부위에 결합하는 등 변형이나 암이 발생할 수 있다. 상동재조합 복구는 여러 단계를 거친다. 각 단계는 다양한 복구 단백질에 의해 정교하게 조절된다. DNA 이중나선절단이 ... ...
항암 부작용 줄이고 전이암 막는 새 '암 치료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유도했다. 실제 간암, 유방암 환자에서 유래한 세포에 적용해 봤을 때 85% 이상의 세포
사멸
이 일어났다. 연구팀은 "항암 펩타이드가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이상적인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지 밝혀냈기 때문에 향후 암 예방제나 암 예후관리제 같은 신약 개발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장내미생물 활용한 악성 뇌종양 치료 실마리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내 T세포, 특히 CD4+T 세포의 세포독성기능을 증대시켰다. 세포독성기능은 암 세포를
사멸
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균주둘은 또 면역관문억제제인 항 PD-1 항체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항종양 면역 기능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교모세포종에 대해 효과가 적었던 면역관문억제제를 장내 미생물과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