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멧줄기
산줄기
연산
산
산지
뉴스
"
산맥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까지 내려온 북극공기 제주도까지 얼었다…제주 첫 한파경보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우랄
산맥
북쪽의 바렌츠·카라해의 해빙이 평년보다 적은 상태가 유지되면서 우랄
산맥
부근에 차가운 공기를 막는 효과가 커졌다. 이는 차가운 바람이 동쪽인 한반도로 불어 오는 역할을 한다. 성층권 진동이라는 요소도 있다. 성층권 진동은 적도 상공 10~50km 성층권에서 부는 바람 편차를 뜻한다. ... ...
韓 태풍이 美 산불 일으켰다…전지구 기상 ‘나비 효과’ 입증
2021.01.05
윤 교수는 “고기압이 발달하면 고온건조한 바람이 동에서 서로 역전해 불면서
산맥
을 타고 내려오게 된다”며 “그 결과 조금의 불씨로도 산불이 번질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이례적으로 2주라는 짧은 기간 동안 세 개의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끼치며 많은 ... ...
판다의 인기가 반달가슴곰을 터전에서 밀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펼치며 2016년에는 멸종 위기종에서 해제되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친링
산맥
과 민산
산맥
등 판다 서식지 일대에 보호구역을 구축하고 판다 서식에 최적의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판다는 사는 곳이 까다롭다. 대나무가 많고 경사가 완만하며 인간과 접촉이 적어야 한다. 아시아흑곰으로도 불리는 ... ...
"43만년 전 인간도 혹한기 버티려 겨울잠 잤다"
연합뉴스
l
2020.12.21
잤을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에 따르면 스페인 아타푸에르카
산맥
의 선사시대 동굴유적인 '시마 데 로스 우에소스'(Sima de los Huesos)에서 발굴된 고인류 화석에서 겨울잠을 자는 동물에게서 나타나는 병변이 발견됐다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
코로나19 이후 히말라야 눈 더 하얗게 변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히말라야
산맥
주변에 쌓인 눈을 헤치고 주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하며 이 지역의 눈이 더욱 밝게 빛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SA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전 세계를 덮친 가운데 위성의 눈에 지구가 바뀐 모습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인도 ... ...
판다는 추울수록 몸에 말똥을 바른다
2020.12.08
산시성에서는 판다가 말똥 밭에서 몸을 뒹구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산시성 친링
산맥
자연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친링 판다는 주변 마을에서 이용하는 말이 남긴 말똥을 몸에 바르는 이상한 습성이 있다. 최근 중국 동물학자들은 친링 판다의 이런 이상한 습성이 추위를 견디기 위해서라는 사실을 ... ...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 공식 높이는 8848.86m…0.86m 더 높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결과를 공동으로 공표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에베레스트는 히말라야
산맥
의 봉우리 중 하나이자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에베레스트의 높이를 처음 잰 건 1855년 영국 지리학자 조지 에베레스트 경이 이끈 실측 팀이다. 이들은 수준측량법 중 하나인 삼각법 계산을 이용하기 위해 ... ...
‘빗물이 산을 깎는다’ 숫자로 증명
과학동아
l
2020.11.11
0월 16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az3166 연구팀은 네팔과 부탄 경계에 있는 히말라야
산맥
동부에 있는 강에서 퇴적물을 채취해 베릴륨 동위원소(10Be)의 비율을 측정했다. 베릴륨 동위원소는 우주선(cosmic ray)이 지표 물질과 반응해 생성되기 때문에 베릴륨 동위원소의 비율을 조사하면 퇴적물이 ... ...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99%
과학동아
l
2020.11.10
무인 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는 명왕성을 근접 비행하며 눈이 덮인 것처럼 꼭대기가 흰
산맥
의 사진을 보내왔다. 사진이 찍힌 곳은 명왕성 적도 부근 크툴루 지역의 산꼭대기로, 고도 1.5km부터 산 정상인 고도 3.5km까지는 ‘서리’가 덮여 있었다. 최근 이 서리의 구체적인 조성과 생성 과정이 ... ...
동아시아인 형성 핵심 몽골 인류의 6000년 변천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살던 '고대북유라시아인' 유전자가 섞인 인류집단이, 마지막으로 몽골 서쪽 알타이
산맥
부근에는 유럽지역에서 스텝을 거쳐 온 전차를 사용하는 인류집단이 각각 살고 있었다”며 “1000년간 마치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았는데 이 시기에 갑자기 섞였다는 사실이 게놈 분석 결과로 처음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