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실
멸망시킴
전멸
섬멸
괴멸
해소
종료
뉴스
"
소멸
"(으)로 총 37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한 자발적 노력
2022.04.27
되는 시점에 교육과 학술연구의 기반이 완전히 무너지게 된다는 뜻이다. 심지어 지역
소멸
의 가능성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스스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의지와 혁신 능력을 갖춘 대학만 생존할 수 있는 힘든 상황이다. 대학의 절박한 몸부림 전국의 대학들이 생존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 ...
과학기술 5단체 "대통령 보좌할 과학기술수석 필요해"…대통령실 직제·인선 '고심'
동아사이언스
l
2022.04.24
않도록 하겠다”며 재차 지지를 호소했다. 이들 단체는 “한국은 인구절벽과 지역
소멸
, 기술 패권 경쟁 시대를 맞아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혁신국가로의 새로운 전환점에 놓여있다”며 “새로 출범하는 정부는 대통령 당선자가 제시한 ‘과학기술 중심국가를 향한 분명한 철학과 비전, ... ...
국내 연구진,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 수준에 맞는 최적 치료시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0
내다봤다. 대뇌의 대부분 영역에 타우 단백질의 슈퍼전파가 일어나면 신경세포가 죽어서
소멸
하는 현상을 막을 수가 없게 돼 결국 치매를 되돌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성 교수는 “베타아밀로이드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라도 타우의 슈퍼전파가 일어나기 전까지만 효능이 있다는 것을 세계최초로 ... ...
그날의 악몽 지운다...PTSD 치료 실마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우울증 약물치료를 병행하는데 나아지는 비율은 50%에 머문다. 공포기억이 순간적으로
소멸
된 것처럼 보여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머릿속에서 회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NYX-783은 미국 제약사 앱티닉스가 개발해 현재 임상 2상이 진행중인 약물이다. 신경세포의 막단백질인 NMDA수용체를 ... ...
국내서 코로나 오미크론 새 변이 XL형 첫 발생…방역당국 "확산 영향 없을 듯"
동아사이언스
l
2022.04.12
기울이고 있다. 단 영국 보건안전청은 지난달 25일 재조합 변이 대부분 특별한 확산 없이
소멸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단장은 ”전 세계적으로 XE형, XJ형 변이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질병관리청을 포함한 검사기관에서 충분히 모니터링 중“이라고 밝혔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학계를 떠나는 과학자들
2022.04.07
오래다. 실제로 지방대의
소멸
은 우리 눈 앞에 닥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대학이
소멸
하면 과학자의 삶은 어떻게 될까. 아마 과학자 사이에서도 양극화는 더욱 심각해질 것이고, 경쟁은 지금보다 더 심화될 것이다. 박사학위자의 숫자를 줄이는 것만이 미래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지만, 그 어느 ... ...
오미크론·스텔스오미크론 혼합 변이 'XE' 대만서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4.03
수석의학고문은 “혼합형 변이가 발생하는 것이 드문 경우는 아니고 상대적으로 빨리
소멸
한다”며 “아직까지는 전염성이나 심각성, 백신 효과를 논할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 최근 코로나19 변이 두 종이 혼합한 혼합 변이가 늘어나자 WHO는 XE 외에도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의 ... ...
잘 낫지 않는 세균 감염, 다 이유가 있었다
연합뉴스
l
2022.03.25
요인이 세균의 생존에 필요한 주요 경로 가운데 어느 하나만 차단해도 세균 전체가
소멸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패혈증이나 요로감염증을 일으키는 세균은 어떻게 이런 스트레스 요인들을 이겨내는 걸까. 감염성 세균이 숙주 내의 환경 스트레스에 신속히 적응하는 메커니즘을 미국 유타대 ... ...
지구 충돌 두 시간 전 관측된 2m 소행성 2022 EB5
연합뉴스
l
2022.03.16
2m 크기의 소행성이 대기권에 충돌하며 사라졌다.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지 못하고
소멸
하는 이런 작은 소행성의 충돌은 흔해 주목받지 못하지만 '2022 EB5'로 명명된 이 소행성은 좀 더 특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에 충돌하기 전 궤도를 파악해 충돌 위치와 시점을 정확히 파악한 다섯 번째 ... ...
북극 바다밑서 6층 건물 규모 구멍 등 싱크홀 41개 발견…'느린 기후변화' 원인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것으로 보인다. 북극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지상에서는 지반 붕괴나 호수 생성 또는
소멸
등 큰 지형 변화가 많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바닷 속의 영구동토층이 녹는 현상과 그로 인한 지형 변화를 직접 측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강조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러시아의 영구동토층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